인구・혼인 감소추세가 지속됨에 따라 ‘군산인구 늘리기’프로젝트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통계청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인구는 2011년(187만4,000) 이후로 지속적인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동시에 전북지역의 혼인 또한 2010년(10,525건)이후로 지난해 말(7,219건)까지 매년 그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의 인구는 2016년 186만4,700명, 2017년 185만4,600명, 지난해 말 기준 183만6,800명으로 나타나 매년 1만명이상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전북 인구수와 2017년 인구수를 비교하면 17,800명이 감소해 2011년 이후로 가장 많은 인구감소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부터 3월까지 매월 2,000여명씩 감소하며 지난해보다 더 많은 인구감소폭을 보이고 있다.
이런 와중에 2015년 군산지역의 인구는 2000년 이후로 최대인구를 기록하며 반전을 꾀했지만, 이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중단과 지엠군산공장의 폐쇄로 꾸준히 감소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전북인구 187만명 중 27만8,400명(전북인구의 14.9%)이였던 것이 지난해 183만6,800명 중 27만2,600명(14.8%)까지 감소해 최근 3년 동안 6,000명 가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인구에서 군산인구의 비율변화는 미비하지만 전북의 총 인구 감소와 군산지역의 인구의 꾸준한 감소가 해결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구 감소뿐만 아니라 전북지역의 혼인수는 도내 모든 지역이 2010~2012년 이후로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어 전북인구 감소를 가속화시키는 원인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동시에 2012년 군산의 혼인은 1,921건으로 전북혼인(10,022건)의 약 20%를 차지했지만 이후 감소를 거듭해 지난해 전북 혼인(7,219건)의 15.8%에 해당하는 1,140건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최근 인구정책 민관위원회에서 인구감소의 가장 큰 요인인 저출산과 인구유출에 대응하기 위해 ▲청년층의 주거지원과▲결혼이민자 정착지원 등의 결혼장려사업을 추진하고 ▲난임 수술비 지원과 치료지원 ▲맞춤형 돌봄과 일·가정 양립으로 ‘양육부담제로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또 지역을 떠나는 인구를 최소화하고 외부의 인구유입을 최대화하기 위해 귀농귀촌, 수도권 소재 도내 출신 대학생 등의 인구유입을 목표로 ▲맞춤형 교육과 취업지원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 및 일터복귀 지원 ▲젊은 청년들의 창업지원 등 지역특성별로 구분・분류해 지원하는 ‘제2고향 만들기 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와 타시도의 인구관련 통계와 동향을 참고・조사해 인구정책에 반영할 방침이다.
이와 더불어 ▲신중년 지원정책과 실버 주택 설립 등을 통해 중장년·고령 인구 유입과 특화시키고, 해외동포귀국인, 다문화 가정지원과 친화정책을 통해 국적과 나이를 불문한 유입정책을 시도할 예정이다.
군산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군산은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돼, 지역의 젊은 인재가 일자리를 찾아 타지역으로 떠나고 있다”며 “(군산시)인구유입을 위해서는 군산형 일자리 창출과 결혼장려사업, 신중년 지원정책, 다문화 지원정책 등 복합적인 지원정책이 선행돼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