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국제공항 기본계획 취소소송 1심에서 패소한 것은 전북도의 소극적이고 안일한 대응도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동구 전북자치도의회 의원(군산2)은 12일 행정사무감사에서 “국토교통부가 피고라고 해서 도가 손을 놓고 있어서는 안됐다”며 “도민이 수십 년간 염원해 온 새만금 국제공항의 법정 논리에조차 참여하지 않은 것은 전북 행정의 무책임한 태도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전북도는 지난 1심 소송에서 총 8차례 변론에 참석만 했을 뿐 사업 필요성이나 지역적 타당성에 대한 구체적 논리를 내지 못한 채 국토부와 함께 소극적인 태도를 일관했다.
이어 김 의원은 “도민의 이익을 지키는 싸움에 전북도는 피고도, 대변자도 아닌 ‘방관자’였고 1심 패소는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최근 발생한 무안 국제공항 조류충돌 사고를 가까이서 지켜보고도 새만금 국제공항 소송 과정에서 전북도는 조류충돌이나 환경 문제에 대한 전문적 대응 논리를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만금은 갯벌과 해안, 철새 이동 경로가 중첩된 지역인데 도는 이를 고려한 입증 자료 한 건 제출하지 않았다”며 “이 정도면 패소는 예견된 결과였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의원은 “이제 남은 것은 항소심뿐이다. 도민이 알고 싶은 것은 ‘누가 이겼나’가 아니라 전북도가 어떤 논리로 새만금공항의 필요성을 설득할 것인가”라며 “항소심 전략을 조속히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끝으로 “도민의 바람은 분명하다. 새만금 국제공항의 조기 건설과 활주로 확장, 이를 통한 민자유치를 통한 새만금 성공과 전북 지역경제 활성화다”며 “도가 구경꾼 행정을 계속한다면 도민의 꿈은 활주로에 서보지도 못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