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수화․현행 배수갑문 운영․배수갑문 개방시간 확대 등
새만금개발청의 새만금 수변도시 조성 계획에 대해 군산시가 반발하며, 수질문제 해결을 전제조건으로 제시하면서 해수유통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군산시와 시민들이 “정부가 지난 30년 동안 수십조의 돈을 쏟아 부었지만 수질은 더 나빠지고 있다”며 “해수유통을 통해 수질을 개선한 다음,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이 문제가 어떻게 결론이 날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새만금호 수질 조사결과, 수심 3m 아래로는 수중 생물체가 살수 없는 ‘데드 존(Dead Zone)’이 형성돼 죽음의 호수로 변해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수심 3m 이상은 용존산소량이 1리터당 3㎎ 이하, 즉 생물이 폐사할 수밖에 없는 빈산소층, 즉 무산소층에 가깝다.
이로 인해 새만금호 수심 3~5m 구간에서 염분 성층화(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않아 수심이 깊어질수록 용존산소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 현상이 반복되며 생명이 살 수 없는 환경이라는 게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의 주장이다.
이처럼 새만금호 수질 논란이 거세지면서 최근 정부가 새만금 유역 2단계 수질개선 종합대책 종합평가에 앞서 배수갑문 운영확대 등 해수유통을 포함한 여러 시나리오별 수질예측과 이에 따른 수질관리 방안 마련에 나섰다.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해수유통에 따른 수질변화 검증에 나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부분적이라는 단서가 달려 있다.
최근 전북도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가 최근 ‘새만금 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2011∼2020) 후속조치 실행계획 마련’을 위한 긴급 연구용역을 나라장터를 통해 입찰공고 했다. 이번 용역은 새만금 2단계 수질개선종합대책 종합평가 연구의 후속조치다.
지난해 7월부터 진행 중인 새만금 2단계 수질대책 종합평가 연구는 오는 9월 완료된다. 정부는 새만금 수질 종합평가 연구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수질대책을 마련할 예정인 가운데, 별도의 후속조치 마련을 위한 새만금 2단계 수질대책 후속조치 용역이 추진되는 셈이다.
이번 용역은 배수갑문 운영조건별로 후속조치 실행계획을 마련한다는 점이 핵심이다. 환경부는 ▲담수화 ▲현행 배수갑문 운영 ▲배수갑문 개방시간 확대 등 3가지 시나리오별 배수갑문 운영조건에 따른 새만금 수질예측을 살펴볼 방침이다.
주목할 점은 배수갑문 개방시간 확대방안이다. 이는 사실상의 부분 해수유통 방안으로 현재도 새만금은 배수갑문을 통해 하루 1회씩 사실상 해수유통이 이뤄지고 있다.
현재의 새만금 기본계획(MP)상 새만금 신시․가력도 등 2개의 배수갑문은 주야 2회씩 개방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14년 어선전복 사고가 발생하면서 야간시간에는 개방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해수유통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기는 하지만 환경부는 상시 등 전면적인 해수유통 방안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현실적으로 새만금 내측의 해수면이 -1.5m로 설정된 가운데 전면 해수유통시 방수제 추가 축조 등 내부개발 차질이 불가피해 새만금 사업을 더욱 지연시키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새만금 배수갑문 운용조건에 따른 시나리오별로 새만금 수질관리방안 마련에 나섰다”면서 “배수갑문을 통해 해수유입량 확대 등 다양한 수질예측모형과 주요 연계 계획 최적안 도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앞서 강임준 시장은 “지금의 새만금 개발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과도 어긋나는 개발이다. 환경과 함께 가는 개발이 아니면 또 다른 4대강 사업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어려운 시기인 만큼 모두가 한마음으로 지역발전을 위해 헌신함은 물로 도의 적극적이고 합리적인 방안도 시급하다”고 전했다.
<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