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용지와 농생명용지 용수 공급문제도 재검토 대상
담수화를 전제로 추진된 새만금 개발에 대해 ‘해수유통을 통한 수질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정치권의 압박이 더해지며 새만금 개발의 판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정부와 전북도 등이 과거 환경단체 등의 요구처럼 정치권의 목소리를 묵살(?)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새판을 짜야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새만금호 수질개선에 지난 20년 동안 쓴 예산은 4조원이 넘지만 목표수질에 한참 못 미치고 있다.
이렇듯 막대한 비용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류수질을 잡는 데는 일부 효과가 있었지만, 새만금 담수호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고 여전히 목표수질 달성이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에 새만금 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인 면을 고려해 해수유통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오고 있는 가운데, 새만금 유역이 지역구인 국회의원들까지 새만금호 수질개선을 위한 해수유통을 촉구하고 나섰다.
군산과 김제․부안이 지역구인 신영대․이원택 국회의원은 지난 21일 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담수 형태로 수질개선은 불가능하므로 담수호를 전제로 추진된 산업용지와 농생명용지의 용수 공급문제는 전면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수가 유통된다면 수질논란에서 벗어나 새만금의 비약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도 있다는 의견을 내놓은 것이다. 다만, 두 의원은 만약 해수유통으로 결론이 나더라도 후속조치에는 반드시 지속가능한 새만금개발계획이 담겨야 한다는 의견을 단서로 달았다.
이 같은 요구에 대해 즉각 전북수산인발전연합회와 시민사회단체에서는 환영의 뜻을 나타내며 ‘전면적 해수유통과 수산업 부흥’을 촉구했다.
현재 새만금호는 배수갑문을 통해 일정한 시간동안 수문을 열고 있지만, 갇혀있는 방조제 내측 바다는 죽어가고 있다. 실제로 바다오염도를 측정한 결과에 따르면 수심 3미터 이상 되는 새만금 내측 전 지역은 이미 어패류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용존산소량이 부족한 상태다. 이유는 담수와 해수층이 염분 농도에 따라 나뉘는 염분 성층화 현상 때문이다.
당초 계획대로라면 70%이상 개발이 진행됐어야 맞지만, 이 같은 이유 등이 복잡하게 얽히면서 현재 30%대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특히 새만금호 안으로 들어오는 오염물질을 거르는 침전지나 인 처리시설 등도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
이처럼 환경단체에 이어 정치권에서 새만금 해수유통을 요구함에 따라 전북도 등에서는 곤욕스러운 모습이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도의 입장은 명확하다. 내부개발이 한창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수질을 측정해서 그걸 근거로 해수유통을 판단하는 것은 시기가 너무 빠르다”고 말했다. 이처럼 새만금 개발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해수유통 주장은 시기상조라며 계획대로 새만금을 개발하고 난 뒤 담수화나 해수유통을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환경단체․지역주민에 이어 정치권이 합세한 새만금 해수유통을 통한 수질개선 요구에 전북도도 더 이상 외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용역 결과도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결과에 따라 담수화를 기본으로 계획한 새만금 개발이 전면 수정될 것인지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지지부진한 새만금 개발사업의 일대 전환점이 될 것인지 도민 모두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