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산업 기반 자리 잡기까지 추락 계속될 것으로 전망
인구 감소의 끝이 보이지 않고 있다. 현재 군산지역은 산업기반이 취약한 상황에서 대기업의 잇따른 공장 가동 중단과 폐쇄가 인구 감소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지만, 새로운 산업 기반이 자리 잡기까지 추락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돼 우려를 낳고 있다.
군산의 인구는 지난해 1월을 기점으로 27만명이 붕괴됐다. 물론 인구 감소는 군산뿐 아니라 전국 대부분의 중소도시가 겪는 어려움이지만, 군산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시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시 인구는 26만7,612명으로 지난 1년 전에 비해 2,400명가량이 더 줄었다.
이에 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구 늘리기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산업 붕괴로 인한 인구 유출이 여전히 가속화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다.
군산 인구는 지난 1997년 군산과 옥구가 통합된 이후 가장 많은 28만1,437명을 기록한 뒤, 줄곧 감소세를 보이며 2007년 최소인 26만562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2008년 반등하며 줄곧 증가세를 보였다. ‘50만 국제관광기업 도시’를 꿈꾸던 때다.
특히 2015년에는 2000년대 들어서 최대인 27만8,398명을 기록했지만, 이듬해인 2016년부터 감소세를 보이면서 결국 지난해 27만명이 붕괴됐다.
물론 이 과정에서 2017년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과 2018년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로 직격탄을 맞아 5,000명가량이 줄고, 2019년 경기침체로 2,500여 명이 감소한데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난해 코로나19로 2,200여 명이 감소한 것이 27만명 붕괴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문제는 인구 감소가 자칫 지역경제 침체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현재 군산지역의 경제는 악순환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소비심리 위축에 따른 소비 감소로 자영업자들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여기에다 인구가 줄면 가장 먼저 지방세 수입이 감소해 시가 가용할 수 있는 예산도 줄어들게 된다. 또 인력의 안정적인 수급이 이뤄지지 못해 기업과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결국 지역경제 침체로 이어지며,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가장 우려하는 상황인 지역경제 침체의 악순환이 되는 것이다.
지속해서 시가 이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회복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물론 희망은 있다. 현재 군산은 전북도와 정부의 지원을 받아 지역에 신재생에너지 구축단지 조성과 군산형일자리를 통한 전기차생산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산업구조를 개편하고 있다.
기존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에서 탈피해 중소기업과 강소기업 위주 산업으로 개편함으로써, 안정적인 산업구조를 만들어 나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이 같은 계획과 방향성은 향후 몇 년이 지나야 지역경제와 그 결을 함께 할 수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군산의 인구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는 일자리 때문에 군산을 떠나는 인구보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앞지르는 인구 데드크로스(dead cross) 현상의 심화가 주원인”이라며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어 인구 유출을 막고 나아가 인구를 유입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동시에, 출산과 육아를 지원해 인구를 늘릴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