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퇴적으로 준설이 시급한 군산항의 안정적인 수심 확보와 매립토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새만금 매립공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 대안이 실현된다면 일석이조(一石二鳥)의 ‘도랑 치고 가재 잡고….’도 가능할 수도 있다. 다만 복잡한 셈법은 관계기관과 이해관계자 등의 몫이다.
군산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임춘희․남대진․이하 군산환경연)은 지난달 29일 ‘새만금 291㎢로는 땅이 부족한가? 새만금 깊은 곳을 파서 높은 곳을 메우는 호소준설을 당장 중지하라!’는 논평을 통해, 군산항 제2 준설토 투기장 건설사업 대신에 이곳에서 퍼낸 준설토를 새만금 매립제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산환경연은 “최대 10억㎥까지로 추정되는 새만금 매립공사에 필요한 매립토 확보를 위해 일부 군산항 준설토가 사용됐지만, 운송 과정에서 돈이 많이 들고 매립토의 질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중단하고, 새만금 내측의 호소 밑바닥을 파 올려서 그 흙으로 매립하는 일을 지금까지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한국농어촌공사가 군산항 준설토 일부를 새만금 산업단지 매립토로 활용했지만, 토질 등의 문제로 사용을 중단했다.
이어 “그 결과 이미 썩은 물로 가득한 호소의 바닥은 점점 깊어지고, 온전한 해수유통이 이뤄진다고 해도 호소 밑바닥의 물이 정화될 거라는 희망은 거의 사라진 지 오래됐다”며 “하루가 멀다고 새만금을 죽음의 땅으로 만드는 일에 끝없이 돈을 퍼붓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에 “군산항에서 준설을 위해 파내는 준설토를 새만금의 매립토로 활용하면 군산항 수심 확보는 물론, 호소 바닥의 준설을 막을 수 있어 바다를 살려 수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군산항 제2 준설토 투기장 건설사업에 대해 아무리 생각해도 거대한 토건 세력과 일부 정치인, 브로커 간의 어떤 연결점이 형성되지 않았다면 이런 어처구니없는 사업이 국책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며 “투기장 건설에 드는 4,287억원을 새만금 공사 현장에 매립토를 보내는 것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군산항 제2 준설토 투기장 건설사업은 국가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 내년 상반기 한국개발연구원의 예타조사를 통과해 사업이 확정되면 기본설계 등을 거쳐 이르면 내년부터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현재 제1 투기장으로 사용 중인 금란도는 포화 상태로 내년 말께 사용이 중단될 처지여서 추가적으로 투기장을 확보하거나 활용방안을 찾아야하는 실정이다.
이에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제2 준설토 투기장을 군산항 7부두 옆 서방파제 측면에 국비 4,287억원을 들여 호안 4,170m, 가호안(호안 역할을 하도록 축조된 임시 구조물) 1,160m, 215만㎡의 규모로 건설해 30년간 활용하기로 한 것이다.
한편 지난해 12월 군산시와 서천군, 전북도와 충남도는 상생협약을 통해 내년에 사용이 만료되는 제1 투기장인 금란도를 군산내항, 근대역사문화와 연계한 해양레저․생태 공간으로 재개발해 지역 랜드마크로 만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