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와 조선업 등 제조업 쇠퇴·청년인구 유출 탓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등 제조업 침체로 어려움을 겪은 군산시가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되며 지역사회에 적잖은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지역산업과 고용’ 봄호에 따르면 올 3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 전국 228개 시군구 중 군산을 포함한 113곳(49.6%)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이 조사에 따른 소멸위험지역은 2015년 80곳, 2020년 102곳으로 꾸준히 늘었다.
소멸위험지역은 지역 내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전체 인구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지수로 분류한다. 이 지수가 0.5 미만이면 노인 인구가 가임여성 인구보다 2배 이상 많아 인구가 감소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보며, 0.2 미만(즉, 20~39세 여성 인구가 65세 고령 인구의 5분의 1 미만)일 경우에는 소멸위험이 매우 높다는 것으로 의미한다.
군산의 경우 전체 인구(3월 기준)는 26만4,656명으로 20~39세 이상 인구는 2만6,551명, 65세 이상 인구는 5만3,395명으로 소멸위험지수는 0.494로 나타났다. 군산의 소멸위험지수는 2015년 0.82→2020년 0.58→2022년(3월) 0.494로 7년 사이 절반가량으로 하락했다.
고용정보원은 군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포함된 데는 자동차와 조선업 등 장기 불황에 따라 취업자가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면서 청년들의 수도권 유출이 다시 증가하는 등 이른바 주력산업 붕괴사태 후폭풍에 직격탄을 맞은 것으로 풀이했다. 이와 관련해 군산은 지난 2018년 고용위기지역과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전북 익산도 소멸위험지수 0.489로 직전 조사인 2020년(102곳) 대비 올해 새로 소멸위험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고용정보원 일자리사업평가센터장은 “비수도권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구성하는 지역 제조업이 2010년대부터 쇠퇴하고 일자리 상황이 악화되면서 청년 인구 유출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런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일자리 정책 목표의 명확화 ▲지역 인재 유출 방지 ▲공간 기반 정책 및 인적 기반 정책의 조화 ▲지역 고용 취약계층 보호 ▲지역 맞춤형 고용 거버넌스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황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