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시 지역소멸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다. 지난 2022년 소멸위험지역에 처음 진입한 이후 소멸위험지수가 계속 낮아지고 있는 것.
전북지역 시민단체인 좋은정치시민넷이 2024년 말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분석한 ‘지방소멸위험지수’에 따르면 군산시 소멸위험지수는 0.393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0.424)보다 소멸위험지수가 0.031 낮아져 소멸 위험성이 조금 더 커진 것이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으로 지난해 군산의 20~39세 여성은 2만3,361명, 65세 이상은 5만9,458명이었다. 지수가 낮을수록 지방소멸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단계별로 1.5 이상은 지방소멸위험도가 ‘낮음’을, 1.0∼1.5 미만은 ‘보통’, 0.5∼1.0 미만은 ‘주의’, 0.2∼0.5 미만은 ‘위험 진입’, 0.2 미만은 ‘고위험’ 지역임을 나타내는데 ‘위험 진입’과 ‘고위험’ 수치에
해당하는 지역을 소멸위험 지역으로 통칭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군산시 인구 종합분석에 따르면 고령인구(23.0%) 비중이 청년인구(21.7%) 비중을 넘어섰으며 청년인구 감소세가 다소 완화됐다 하나 청년인구가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다.
이에 지역소멸 속도가 더 이상 빨라지지 않도록 기업 유치를 통해 고소득이 보장된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하고 지역 청년이 계속 머물 수 있도록 주거·문화·교육·의료 등 중요 생활기반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소멸위험지수 공식을 고려할 때 고령화 지수가 높은 군산은 좋은 성적을 받기 어려운 데다 소멸위험지수는 출생과 사망만으로 집계하는 자연증감률을 예측하기에 인구 유출입 등 사회적 이동에 따른 인구 추이도 고려해야 한다.
한편, 전북도 소멸위험지수는 0.38로 전년 대비 0.02 하락했으며 전국 17개 시·도 중 4번째로 소멸위험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됐다.
도내에선 전주(0.641)만 ‘주의단계’로 분류됐을 뿐 군산(0.393)과 익산(0.403), 완주(0.368)를 비롯한 6개 시·군은 ‘소멸위험 지역’, 임실(0.133), 장수(0.133), 진안(0.138), 고창(0.142) 등 7개 군지역은 ‘소멸 고위험 지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돼 심각한 인구 감소 현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전북도는 청년 인구유출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전북 청년의 구직·정착·자산 형성을 종합 지원하는 ‘함성패키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