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다안전의 대표적 민관협력 단체였던 ‘민간해양구조대’가 명칭을 ‘해양재난구조대’로 변경하고 활동에 돌입했다.
민간해양구조대는 1997년 경남 통영에서 어민들이 자율적으로 결성한 구조 봉사단체로 시작됐다가 해경이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시켰고 지금은 해경의 바다안전에 대한 대표적 카운터 파트너로 성장했다.
하지만 그간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적근거가 없어 체계적 지원과 운영에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왔고 이를 반영한 법률(해양재난구조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지난해 제정됐다.
군산해경은 법률의 시행시기에 맞춰 명칭을 변경하고 24일 해양재난구조대 위촉식을 진행했다.
위촉식에는 박상욱 서장과 각 과장, 파출소장 등이 참석했고 군산 해양재난구조대는 ▲김대영 대장 ▲현기삼 해망지부장 ▲김 순 비응지부장 ▲ 김태선 새만금지부장 ▲박해영, 김종승, 문태일 수중구조대 반장(원) ▲고환곤 드론수색부장 ▲최기원 선박구조대원 등 11명이 참석했다.
김대영 해양재난구조대장은 위촉식 자리에서“전북자치도 면적의 다섯 배에 달하는 드넓은 군산 바다 해양안전을 지원하는 구조대장으로 임명돼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며“해양경찰과 적극 협력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에 박상욱 군산해경서장은 “새롭게 출범하는 해양재난구조대가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며“민·관 협력체계 강화를 통해 효과적인 구조활동이 펼쳐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양재난구조대는 드론순찰대, 수상구조대, 인력봉사대 등 총 5개 분야 427명이 활동할 계획이며 드론, 선박, 수중, 자원봉사 등 전 분야에서 인원 제한없이 상시 모집중이다.
신청 방법은 가까운 해양경찰 파출소를 방문해 가입이 가능하며 수난구호에 참여하는 인력에 대해서 수당 지급, 피복 지급 등 지원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