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17년 옥구에서 발생한 산불로 헬기가 진화하고 있다.<사진=군산시 제공>
경상도지역과 울산 등지에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많은 사망자 발생 등 피해가 늘어나면서 군산지역 산불 발생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경상북도 북부를 중심으로 큰 피해를 낸 산불이 26일 경기도 파주, 전라북도 고창 등 타 지역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전국에 비상이 걸린 상태.
산불로 인한 사망자 수는 이날 오전 18명에서 오후 24명으로 늘어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3월 26일 오후 4시 기준 사상자는 총 50명으로, 사망자 24명, 중상 12명, 경상자 14명이라고 발표했다.
또 의성 산불 현장에서 헬기가 추락하면서 조종사 한명이 사망해 안타까움을 더했다.
더욱이 26일에는 타 지역 곳곳에서도 산불 소식이 전해졌다.
26일 오후 전북에서도 고창의 한 야산에서 불이 나 정읍으로까지 번진 상태다.
같은날 경기도 파주 한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이같은 산불이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사망자와 피해사항이 크게 늘면서 많은 시민들이 혹시나하는 불안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결국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까지 나서 "역대 최악의 산불에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인력과 장비로 맞서고 있으나 상황은 심상치 않다"고 말했다.
한 권한대행은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지난 21일 경상도 등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이 확산되면서 역대 최악의 산불 기록을 갈아쓰고 있다"며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산불 피해가 우려되기에 이번주 남은 기간은 산불 진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현실에서 군산의 경우 산불위험도는 얼마나 높을까?
군산시도 현재 전국적 대형산불 발생에 따라 산불재난국가위기 경보심각단계 발령에 맞춰 산불특별대책기간 운영으로 특별비상근무체계로 전환한 상태다.
특별비상근무는 오는 5월까지 산림녹지과 7명, 읍면동 2명, 관과소 현원의 1/6과 산불진화대 45명, 산불감시원 45명으로 구성돼 운영되고 있다.
읍면동의 경우 산림이 없는 삼학, 중앙, 경암, 나운 2동을 제외한 모든 읍면동에 2명이 특별비상근무를 하고 있으며 순찰활동과 마을 방송, 소각행위 금지 등 예방활동을 펼치고 있다.
산불감시원은 19개 지역에 45명을 투입, 산불 취약지역에 배치해 산불 감시와 예방활동에 나서고 옥도, 오성산, 망해산, 광법상 등 무인카메라를 활용해 24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도서지역은 군산소방서 25명의 의용소방대 및 진화차 3대를 운영하고 헬기의 경우 산림청 3대, 임차 3대 등 총 6대의 헬기를 운영할 방침이다.
군산시 관계자의 군산지역 산불발생 위험도에 대한 답변은 명료했다.
”넓고 높은 강원도와 경상도 지역에 비해 군산은 지형상 타 지역보다 높은 산이 없어 대형산불이 일어날 확률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산불감시체계와 진화대 구성이 잘 돼 있다“고 강조했다.
또 ‘예산불 감시의 경우 예전에는 산 정상 주변에서 실시했지만 지금은 감시카메라로 대신하고 낮은 곳에서 감시체계를 갖춰 예방활동을 최우선시 하고 산불발생 시 즉각 대처에 가장 신경쓰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산불 발생의 99%가 사소한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시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영농부산물과 쓰레기 소각금지, 산행 시 인화물질 소지금지 등 시민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시민협조를 특별히 당부했다.
한편, 지난 10년 평균 산불발생 현황을 보면 매년 전국적으로 597건에 4,114ha의 면적이 불탔고 전북은 26건에 9.6ha인데 반해 군산은 1.4건에 0.107ha의 산불발생 면적을 보이고 있다. <박정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