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여름철 폭염 관련 비상 체제에 돌입, 시민 모두가 안전한 여름을 보낼 수 있는 대책을 본격 추진중이다.
먼저 시는 관리 도로 전광판 20개소와 기상청을 연계해 기상특보, 현재 기온 등을 나타내도록 해 시민들이 경각심을 갖게 했다.
또한 사전 수립된 대책에 따라 그늘막 175개소, 무더위쉼터 549개소를 가동해 낮에 이동하는 시민이 폭염을 피해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무더위쉼터의 경우 냉방 장비가 준비돼 있으며 길을 걷던 시민이 언제든 입장해 열을 식힐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누구나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표지판이 부착돼 있다.
아울러 도심 열섬현상 완화와 효율적 살수를 위해 지역을 2개 권역(동군산/서군산)으로 나눠 총 4대의 살수차를 배치해 본격 운영중이다.
살수차는 보행자 통행량이 많고 도로 주변 인구밀집도가 높은 지역, 주요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운영되며 오전 10시~ 오후 5시 하루 3~5회 집중적으로 작업을 하고 있다.
폭염에 대비해 시청 각 부서도 분주하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앞서 강임준 시장은 정례 회의에서 ▲시민이 찾아오는 행정이 아닌 찾아가는 행정 ▲고령과 노약자 등 온열질환 취약층 방문 예찰에 최선 ▲지속적 폭염 저감 시설 수요발굴 등을 주문했다.
이에 보건소, 경로장애인과 등은 취약층 방문 점검, 경로당 냉방비 점검 등을 사전에 실시했고 군산시 재난종합상황실에서 24시간 현황을 취합하면서 빈틈없이 상황을 관리하는 중이다.
이 밖에도 ▲체육회 등에 무리한 체육활동 자제 요청 ▲지형적 특성상 폭염에 취약한 군산 산단 지역 사전 예찰 통한 작업장 내 그늘 여부 · 냉방기 작동 여부 점검 등을 시행하는 등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
군산시 관계자는 “폭염은 호우, 태풍 등 다른 풍수해 재난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직접적 위험으로 느껴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 “소리없이 건강과 안전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위험한 자연 재난이 폭염으로 무리한 야외활동, 장거리 도보 이동, 뜨거운 오후 공사장 야외작업은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