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사회

섬 고양이는 길고양이인지? 들고양이인지?

최근 군산도서에 고양이로 인한 피해 늘어

길고양이는 농림부, 들고양이는 환경부로

군산시, 도서지역 고양이 민원 해결 난망

박정희 기자(pheun7384@naver.com)2025-08-07 22:54:13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도서지역 고양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들고양이와 길고양이 구분과 처리부처간 협의가 명확하지 않아 민원 해결이 쉽지 않다.

군산시가 최근 개체수가 늘면서 각종 피해를 주고 있는 도서지역 고양이 민원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예산상의 문제와 도서지역 특성상 처리시간과 처리방법, 또한 가장 중요한 어떤 부처 예산이 사용돼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시에 따르면 최근 어청도와 선유도, 무녀도, 관리도 등에 고양이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

고양이 개체수가 늘면서 세계적인 철새경유지인 어청도의 경우 철새를 습격해 경유철새가 줄어 탐방객 감소에 따른 도서경제에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대다수 도서에 생선 등을 먹어치우는 피해로 고양이 퇴치를 요구하는 민원이 뒤따르고 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어청도의 경우 이장이 직접 수차례 고양이 포획 후 이송 등을 요구했으며 관리도, 무녀도, 선유도 등은 시의원들도 고양이 민원을 접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우선 오는 10월 육지와 연결된 신시도와 무녀도, 선유도 일대 군집 고양이에 대한 집중 중성화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도서와 어청도 고양이 민원은 쉽게 해결되지 않을 전망이다.

도서특성 문제와 예산 문제, 거리 문제 등의 이유다.

현재 시는 농식품부의 예산으로 길고양이에 대한 중성화사업을 연간 1,000마리 수준에서 실시하고 있고 이는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높은 수치로 알려졌다.

도심과 농촌 일부지역에서 실시하고 있으나 도서지역의 고양이 중성화사업은 예산과 사업추진기간 등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섬 지역 특성상 은신처가 많고 주기적 모니터링 인력과 장비가 부족해 과학적 개체수 기반조사가 약할 수 밖에 없으며 생포와 인도적 처리가 가능한 전문포획인력 확보가 힘들다.

어청도 고양이 민원은 더욱 어렵다.

우선 길고양이와 들고양이 구분이 필요하다.

현재 시가 추진하고 있는 고양이중성화 사업은 농식품부의 동물보호법에 따른 것으로 길고양이에 한정돼 있다.

길고양이는 도심지나 주택가에서 자연적으로 번식해 자생적으로 살아가는 고양이로 동물보호법에 의해 중성화 후 기존 서식지에 방사해야 한다.

퇴치가 목적이 아닌 개체수 조절만 할 수 있고 들고양이에 대한 처리 예산사용이 불가하다.

이에 반해 들고양이는 환경부의 야생동물 보호 및 생태계 피해저감과 멸종위기 서식지 등 자연환경 보호를 위해 관리지침에 따라 처리된다.

들고양이는 야생동물과  알, 새끼, 집 등에 피해를 주는 고양이를 뜻한다.

들고양이는 포획과 중성화, 방사에 이어 이주방사, 보호, 제한적 안락사까지 가능하며 포획틀 외에 마취파이프 사용한 포획도 가능하다.

어청도 고양이가 야생동물인 철새를 습격한 피해로 들고양이 개체수 조절에 나선다면 농식품부 예산사용이 불가능하다.

문제는 시가 파악한 결과 환경부에서 국립공원 들고양이 민원처리만 했을 뿐 도서지역 들고양이 중성화사업 사례가 없다는 것이다.

시 관계자는 “고양이중성화 사업을 위해서는 서식지와 개체수 파악 후 계획을 수립해야 하는데 도서지역 특성상 시간상의 문제와 수의사와 생태전문가 동반 등의 문제 등이 뒤따른다”며 “수의사가 중성화수술을 할 경우 수컷은 바로 방사가 가능하지만 암컷은 수일동안 케어를 해줘야 하는데 도서지역에 그런 시설이 없다는 문제도 발생한다”고 토로했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