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금고 선정 문제를 계기로 군산시와 전북은행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군산시 예산을 관리할 금고 금융기관으로 전북은행이 탈락한 가운데 이에 따른 후폭풍이 갈수록 수그러지기는커녕 오히려 거세지는 양상이다. 특히 최근 고발 조치까지 이어지는 등 지난 40년간 이어온 상생의 관계가 이젠 껄끄러운 관계로 변하고 있다. 먼저 군산시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곳은 전북은행. 전북은행 노조 등 집행부는 지난달 19일 본점 3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군산시장과 군산시의 신의를 저버린 무책임한 행태에 충격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경제 활성화를 외치던 군산시가 정작 향토은행이자 지역경제의 젖줄인 전북은행을 외면하고 수익만을 추구하는 시중은행의 손을 들어줬다”고 규탄했다. 이에 앞서 지난달 17일 군산지역 지점장들 역시 군산시장실을 찾아 면담 등을 요청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이들은 ▲시민서명운동 ▲군산시 관련 지방세 수납 전면 거부 ▲각종 협력 및 공익사업, 기여금, 출연금과 사회 복지증진사업 중단 ▲군산지역 장학금 사업 제외 ▲점포 축소 등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히며 시를 압박하기도 했다. 이처럼 군산시 결정에 전북은행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도 이에 맞대응하기 시작, 날선 대립각이 형성되고 있다. 군산시는 최근 시금고 선정 탈락에 불만을 품고 시장실을 찾은 군산지역 지점장 등에 대해 업무 방해 혐의로 군산경찰에 고발했다. 무분별한 집단행동으로 시정업무를 마비시키고, 군산시에 대한 이미지를 훼손했다는 게 주 이유다. 시 관계자 “(지점장들이) 아무런 예고 없이 찾아와 일방적으로 시장 부속실을 점거한 뒤 오전 내내 농성과 구호를 외쳤다”며 “무엇보다 퇴거명령과 함께 추후 시장 면담을 약속했지만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업무에 크게 지장을 줬다”고 말했다. 이어 “시 행정을 마비상태에 빠지게 하는 불법행위를 묵인할 수 없다”며 “이런 행위는 앞으로도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고발조치를 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북은행 한 관계자는 “군산지역 지점장들이 면담 요청 및 결의문 낭독을 한 것 뿐, 기물파손이나 몸싸움은 없었다“며 ”군산시의 과잉 대응“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시는 금고 약정기간이 오는 12월 31일자로 만료됨에 따라 지정 심의위원회를 열고 차기 금고 업무를 취급할 금융기관을 지정했다. 그 결과 일반회계와 기금을 담당할 제1 금고(8,100억원대)에는 농협이, 특별회계를 맡을 제2 금고(2080억원대)에는 국민은행이 선정됐다. 이들 은행은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까지 3년간 연간 1조원 규모의 시 예산을 취급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