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지역의 핵심 3대 현안사업인 군산전북대병원, 롯데 아웃렛, 새만금송전철탑 등이 어느 정도 해결점을 찾았지만 올해 또 한 번의 거센 후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예상된다. 군산경제의 핵심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군산조선소(도크) 폐쇄 위기감이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 동안 조선업 불황으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경우 지난해 4월 86개소이던 협력업체가 11월말 기준 72개소까지 감소했으며 (이 기간에) 근로자들도 1000여명 가까이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 정도는 시작에 불과하다는 게 업계 측의 전망이다. 3월 말 이후 물감이 없는 군산조선소가 폐쇄되면 대량실직 및 협력업체 줄도산 등으로 군산이 다시 예전의 불 꺼진 항구의 모습으로 되돌아가는 불행한 사태를 맞이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마디로 정유년 새해부터 군산 경제에 빨간 불이 켜진 셈이다. 하지만 이 같은 암울한 위기를 극복할 군산의 정책은 실종되고 즉흥적인 땜질 처방만 쏟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사실상 현대중만 쳐다보고 있을 뿐 향후 대응은 미비하거나 없는 상태다. 현대중의 최후 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근로자들의 불안이 갈수록 가중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올해는 위기의식을 갖고 지역경제를 살리는데 집중해야 하지만 아직도 방향조차 잡지 못한 모습입니다.” 수 년간 제조업 회사에 다니고 있는 한 근로자의 말이다. 이 근로자는 “군산조선소 폐쇄 사태 등 군산의 미래가 달려 있는 중요한 한 해임에도 돌파구에 대한 밑그림도, 이에 대한 방안도 없는 것 같다”며 “이대로 가다간 군산경제가 쑥대밭이 될 것”이라고 쓴 소리를 내뱉었다. 현재 전북도와 군산시, 정치권 등이 군산조선소 존치를 연일 호소하고 있지만 정작 향후 군산경제 위기를 돌파할 뚜렷한 대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런 사이 업체마다 올해 경영계획수립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을 뿐더러 가계는 지갑을 굳건히 닫고 있다. 전문가들 역시 올해 군산경제가 최악의 사태를 맞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같은 악재가 쌓여 가는데도 이를 이끌 경제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이다. 이렇다보니 업체 부도 및 부동산 침체, 인구감소, 가게들의 매출 감소 등 지역 경제가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위기 대응 경제 컨트롤타워를 구성하자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경제컨트롤 타워를 조속히 구축해 서민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각종 정책들을 재점검하고 대책을 세우자는 이야기다. 한 경제 관련자는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이라는 위기가 확산된다면 대다수 업체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을 것”이라며 “올해 다른 여러 분야 중에서도 지역 경제에 비중을 두고 수출, 내수, 투자위축 등 군산 경제의 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경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전담팀이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일 의원은 “모든 시정과 의정의 관심과 정책을 군산시 경제를 살리는데 집중해야 한다”며 “서민경제 안정화 및 소상공인 활성화 중소 제조업 활성화 대책을 위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 및 집행 결과를 평가하는 컨트롤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나아가 군산경제 활성화를 위해 외부 각계 전문가를 포함해 컨트롤 타워 팀을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는데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 경제정책을 이끌어갈 컨트롤타워 구성을 충분히 검토돼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