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불황 직격탄을 맞은 군산조선소가 오는 6월 가동중단할 예정인 가운데 군산시가 향후 어떠한 행보를 가져갈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00만 서명운동을 시작으로 정몽준 이사장 자택 앞 1인 시위, 범도민 궐기대회 등 숨 가쁘게 달려 온 군산시로서는 그 다음 스탠스를 어떻게 정해야 할 지를 결정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시가 군산조선소 가동이 정상화될 때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새로운 대응 카드를 꺼내놔야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기 때문이다. 그동안 시는 지난 1월 울산 현대중공업 본사를 방문해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한 범도민 100만 서명부를 전달했다. 또 같은 달 25일부터는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 자택 앞에서 도내 정치권을 중심으로 1인 릴레이 시위를 전개 중이다. 이달 14일에는 수송동 대형마트 앞에서 1만5000여명이 참여한 범도민 총궐기대회를 열기도 했다. 이후에도 시는 대선주자 단독 면담과 현대중공업 주주총회장에서의 호소문 발표 등의 활동을 벌여왔다. 하지만 향후 시가 군산조선소 중단을 막기 위해 어떠한 새로운 대응방안을 꺼내들고 나올 지는 안갯속이다. 시 안팎에서는 \"궐기대회까지 마친 군산시와 전북도가 군산조선소 중단에 대해 앞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대응할 지를 놓고 고심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사실상 모든 물리적인 방법을 죄다 동원한 만큼 새로운 대응방안을 짜기가 부담스러울 것이라는 의미다. 시 관계자는 “현재 군산시와 전북도가 공동으로 다양한 대응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원칙적인 답변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직까지 뚜렷한 대응방안이 세워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일부에서는 향후 시가 두 가지 접근방식, 이른 바 투 트랙(twoㅡtrack)으로 나설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군산조선소 중단을 지역 최대 이슈로 부각시켜 지역민들의 관심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을 전방위적으로 압박하는 것 두 가지다. 따라서 군산조선소 중단과 관련해 지역사회의 여론 형성을 위한 토론회 등의 공론화 활동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지난해 12월 서울 국회의원 회관에서 도내 정치권이 주관하는 군산조선소 위기 극복을 위한 긴급토론회가 열렸지만 지역에서는 단 한차례의 공론화 과정도 없었다. 또 조기대선이 예상되면서 대선주자들을 상대로 한 정치적 압박도 예상해볼 수 있다. 지역을 방문한 대선주자들 상당수가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반대하고 있는 만큼 대선공약에 포함될 수 있도록 전략의 다양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압박도 빼놓을 수 없는 카드다. 군산조선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도 매우 중요한 만큼 대책을 촉구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는 방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