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자동차와 조선산업 등 제조업 침체가 계속되고 가운데 새만금에 상용차 자율주행 실증도시 조성이 추진된다. 최근 글로벌 상용차 메이커들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신사업 기회창출과 연료소모량 감소에 따른 환경규제 대응 및 교통정체 해결, 승객 및 보행자 안전 확보 등의 이슈에 대응할 수 있는 버스·대형트럭 등 상용차 자율주행과 군집주행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은 2025년 세계 자율주행차 시장을 420억달러 규모로 보고 2035년 세계적으로 판매되는 자동차 4대 중 1대는 자율주행차로 전망했다. 지난 2월 미국의 MIT는 사회 다방면에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되는 10대 혁신기술 중 두 번째로 향후 5~10년 적용될 것으로 예측한 ‘자율주행 트럭’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이러한 상용차 자율주행 산업을 국가의 미래성장 동력사업으로 육성하려면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등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반구축이 필요하며, 국내에서는 새만금이 최적지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산업연구원은 ‘전북 미래비전 및 발전전략’에서 15조 원 규모의 ‘새만금 자율주행차 선도도시(스마트시티) 조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전북도는 이에 따라 새만금에 글로벌 수준의 자율주행차 실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규제프리존’을 지정하고,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복합단지로 조성하는 복안을 구상중이이다. 먼저 ‘상용차 자율주행기반 글로벌 전진기지 조성’을 위해 2018년부터 5년에 걸쳐 국비 2200억원을 포함해 총 300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을 구상하고 있다. 새만금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글로벌 부품업체의 집적단지를 조성하고, 상용차 자율(군집) 주행기반 융복합 기술개발, 연구지원 인프라구축 및 융복합 협업촉진 등 기 구축된 상용차 생산기반 인프라와 연계하여 ‘상용차 자율주행기반 신산업’의 글로벌 메카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전북도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기 위해 주요 정당의 대선후보 공약사업에 ‘상용차 자율주행기반 산업육성’을 위한 정책을 반영시킨 상태이다. 전북도를 방문한 주요 대선주자들은 새만금과 전북 몫 챙기기 등 지역 현안에 한 목소리를 내면서 새만금에 정부가 먼저 기반시설을 투자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한 만큼 대선 공약에 반영시켜 이 사업을 가시화 시킨다는 전략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새만금과 주변에 이미 구축된 인프라를 활용하면 따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인프라를 설치해야 하는 막대한 예산투자를 절감할 수 있다”며 “현재 대선공약에 반영된 상용차 자율주행 기반 신산업 육성사업의 정부부처 반영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