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초 현대중공업은 6월에 군산조선소(도크)를 중단한다고 밝혔다. 도민의 염원과 달리 아직까지 마땅한 대책을 찾지 못하면서 폐쇄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1인 릴레이 시위, 범도민 총 결의대회 등 지역사회가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해 끊임없이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묵묵부답(黙黙不答). 그런 사이 현대중 군산조선소의 운명은 이젠 한 달여 밖에 남지 않았다. 이대로 가다간 손도 못쓰고 지난 2010년 3월 야심차게 문을 연 현대중 군산조선소가 7년 만에 문을 닫아야 하는 상황을 안타깝게 바라볼 수밖에 없게됐다. 정부의 일감 확보 실패…지역사회 ‘허탈’ 정부는 최근 파산 직전의 국내 해운업을 살리기 위한 방안으로 2조6000억원 규모의 ‘선박 신조 프로그램’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내놨다. 해운사가 배를 새로 건조할 때 필요한 비용을 정부가 지원해주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현대상선은 지난달 22일 초대형원유선(VLCC) 발주를 위한 입찰제안서 공고를 내고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 3사로부터 제안서를 받았다. 군산조선소 도크 폐쇄를 결정한 현대중공업도 해당 입찰에 참여하면서 지역사회도 내심 기대했던 눈치. 수주 가뭄으로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는 만큼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결국 지역민들의 기대도 수포로 돌아갔다. 선박 신조 프로그램’의 첫 발주 사례인 현대상선 VLCC 5척이 대우조선에 돌아갔기 때문이다. 이에 현대상선과 대우조선은 지난 7일 서울 다동 대우조선 사옥에서 VLCC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번에 발주하는 VLCC는 모두 30만 톤급 이상의 초대형 유조선 5척이며, 옵션(5척)을 행사할 경우 최대 10척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 각에선 현대상선과 대우조선의 LOI 체결을 산업은행의 대우조선 밀어주기로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이 입찰에 떨어지면서 군산조선소 일감확보도 실패했다. 따라서 현실적으로 볼 때 군산조선소의 도크 폐쇄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 이런 위기감 속에 지역 정치권에서도 정부의 발주 물량을 당장 도크 폐쇄를 앞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줘야 한다고 공동성명을 내기도 했지만 헛수고였다. 이런 가운데 군산상공회의소와 지역 시민단체 등은 10일부터 서울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과 국민의당 당사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펴고 있다. 이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선박펀드를 특정 업체에만 밀어주어서는 안 되며 투명하게 공적 자금이 지원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 고위 인사는 “이번 발주 물량을 확보할 경우 (군산조선소) 잠정 중단이라는 최악의 사태를 면할 수 있을 것으로 봤는데 아쉽다”며 “7조원이 대우조선에 집중된 만큼 형평성 어긋나는 결정”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대선주자 구호만 요란(?) 제19대 대선을 앞두고 대권 주자들이 올 초부터 전북표심을 잡기 위해 잇따라 방문한 가운데 군산조선소 문제가 단골 메뉴로 떠올랐다. 전북을 찾은 대권주자들은 한결같이 “군산조선소 가동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단 공감대는 형성된 분위기여서 이 역시 기대감이 높았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전북기자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군산조선소에 최소 수주 물량을 배정해 가동을 유지하는 것과 중단하는 것은 차이가 크다”며 유감을 표한 뒤 “조선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군산조선소에 최소물량을 배정해 버텨 나가는 것이 중요한 만큼 가동유지를 위해 협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현대중 군산조선소 존치 전북도민 결의대회에서 “수주물량이 없다고 군산조선소를 섣불리 폐쇄하는 것은 잘못된 판단“이라며 \"군산의 자부심인 도크가 폐쇄되지 않도록 앞장서 막겠다“고 밝혔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도 “군산조선소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적인 방안 마련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은 전북기자협회 초청 대선주자 토론회에서 “군산조선소 문제는 이미 현대중공업이 도크 가동 중단 결정을 내렸다. 조선산업이 위기다. 살리면 좋지만 쉽지 않다”는 말로 우회했다. 다만 대다수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지만 대선공약으로 확실히 제시하지는 않은 상황이다. 군산조선소는 현재로선 국가 차원에서 특단의 조치가 있어야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결국 대선에 나설 주자들이 군산조선소 문제를 공약으로 채택하느냐 안하느냐 문제는 중요한 사안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대선이 3주 앞으로 다가온 만큼 군산조선소 대선공약 반영을 위해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민들은 “전북을 찾은 대권주자들이 (군산조선소 문제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의지를 드러낼 수 있도록 전북도와 군산시를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들이 힘을 모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