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경제

“군산항 항로재지정 및 항로 초입구 조기준설 시급”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군산항 활성화협의회 간담회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17-05-31 14:24:16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군산항은 7부두 17개 선석 부두시설을 갖추고 있다.   연간 물동량만 1700만톤에 이른다.   하지만 최근 군산항 수출입 물동량이 타 항만으로 옮겨가는 것을 염려해야 할 처지다.   군산항 항로 초입구의 미준설과 저수심으로 인해 대형선박이 입학을 기피하고 있어서다.   심지어 매년 토사는 500~600만㎥ 발생하는데 반해 200~300만㎥만 준설되고 있는 실정이다.   군산항에 대한 중앙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필요한 대목이다.   더불어민주당 전북도당과 군산항 활성화협의회가 30일 전북서부항운노조 회의실에서 만나 군산항 활성화를 위한 항로 재지정 및 항로 초입구부 조기준설을 논의했다.   고봉기 군산항 활성화협의회 위원장은 “해양수산부와 농어촌공사 등 사업시행주체 이원화로 준설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해양수산부가 제3차 항만기본계획에서 1,2부두를 해경, 소형선 및 관리부두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며 “1,2부두 기능전환시 BULK취급화물(사료원료, 철재류 등)대체 부두확보가 불가능해 인근 화주 물류비용 증가에 따른 항만경쟁력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그는 “군산항 소형화물선 물동량 유지와 타 항만 일실 방지를 위해 기존 1,2부두 기능유지 및 해경관리 부두별로 선석개발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특히 “수출자동차선사 거점항만 이용정책에 따라 군산항 이용이 지난해 35만7000대에서 올해 22만7000대(지난해 5월 누계 대비 5만1000대 감소)가 줄어드는 등 전북 국제무역항만 자동차 부두 기능상실 직면에 처했다”며 “필요에 따라 수출차량에 대해 선적항 선적→국내 타 항만 양하→보관→재선적 및 수출 등으로 배정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김춘진 전북도당 위원장은 “군산항 주요현안에 대한 공동대응이 요구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라도 중앙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군산항 활성화협의회는 전북서부항운노동조합, 군산항도선사회, 군산지방예선운영협의회, CJ대한통운(주), 셋방(주), (합)제일선박, (주)삼영, (주)수정항업, 군산항업(합), (유)서우마린, 군산대산항만물류협회 등으로 구성됐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