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개발청 청사의 현장 이전 사업이 사실상 확정·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의당 김관영 국회의원(군산)은 3일 국무조정실에 보낸 서면질의서 답변서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로써 수 년 간 답보 상태였던 청사 이전 공방을 일단락하고, 새만금 개발에 또 하나의 탄력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무조정실 서면답변서에는 “현 정부는 청사 이전의 필요성을 동감하며, 개발청에서 구체적인 청사 이전 계획이 수립되고 있어 적극 지원하겠다”고 적시돼있다. 이와 함께 김 의원은 새만금개발청 이전 문제가 행정안전부 청사이전수급계획에 반영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추가적으로 설명했다. 행안부의 청사이전수급계획이란 정부 부처의 청사이전·운영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첫 단추인 만큼 실질적인 개발청 청사 이전의 시작을 알린다. 이와관련 새만금개발청은 국내 최대규모의 개발사업인 새만금사업을 총괄하는 조직으로 지난 2012년 12월 제정된 새만금사업 추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차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설립됐다. 당시 청사 입지가 논란 끝에 세종시로 결정된 가운데 사업이 본격화되면 ’새만금으로 이전한다’는 내용을 의결한 바 있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새만금개발청이 방침대로 현장으로 이전하지 않아 새만금 투자 유치 및 발전이라는 중요한 길목에서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새만금개발청도 이 같은 문제에 공감하고 지난해 4월 ‘새만금개발청 청사 이전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새만금개발청 청사 이전 기본구상 연구용역’을 진행하기도 했지만 차일피일 미뤄졌다. 김관영 의원은 “새만금에는 이미 OCISE(열병합 발전소), 도레이(PPS 수지)사가 착공되었고, OCI(태양광) 등 일부회사가 착공을 앞두고 있어 기업유치가 가속화되고 있어, 개발청의 새만금 현장 이전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최대 규모의 국책사업에 대한 진두지휘를 현장이 아닌 세종시에서 추진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모든 건 현장에 답이 있다”며 “책임지고 청사 이전 절차를 조속히 진행시켜 달라”고 (정부에) 여러차례 건의하기도 했다. 한편 신임 이철우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개발청 청사의 전북 이전과 관련 “새만금 현장에 위치해야 한다는 신념은 확고하다”며 “다만, 건물을 임차해 임시 이전하는 방안뿐만 아니라 청사를 조기에 신축해 이전하는 방안까지 포함해서 기반시설 확충 등 새만금 개발에 가장 도움이 되는 방안을 관계부처와 전북도 등 관련 지자체와 협의해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