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무중(五里霧中)’ 현재 군산전북대병원을 두고 하는 말이다. 지난해 9월 병원 새 부지가 사정동 일원으로 최종 확정되면서 탄력을 받을 것 같았던 이 사업이 여전히 안개속이다. 사업 이야기가 나온 지가 5년이 넘었지만 제대로 된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제자리만 맴돌고 있는 실정이다. 오락가락하는 이 사업에 대해 시민들도 혼란스럽기만 하다. 그리고 “도대체 언제 공사가 진행되는 것”이냐며 강한 의구심마저 드러내고 있다. 이 사업의 추진여부는 국비 확보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사업주체인 전북대병원은 부지를 확정하고도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건 바로 예산 문제 때문. 전북대병원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 타당성 재조사 용역결과 자체 재정능력으로는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사업이 어렵고 향후 경제성도 낮다는 결론을 도출 한 바 있다. 이 같은 용역 때문에 “사업을 포기하는 것 아니냐”라는 지역사회의 반발과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지만 일단 전북대병원 측은 추진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군산시와 전북대병원은 군산전북대병원 건립 타당성 재검토 용역 이후인 지난 7월말 간담회를 갖고 건립사업을 지속 추진하자는 데에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고보조금을 기존에서 큰 폭으로 상향조정해 추진키로 했다. 군산전북대병원 건립 예산 2056억원 가운데 국비는 555억 여원으로 약 27%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어려운 여건을 감안, 국고보조 비율을 75%(약 800억원)로 상향 조정해 부담을 최소화 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따른 지원책으로 군산전북대병원 건립 예산 중 국고보조 비율을 상향 조정해줄 것을 중안부처에 건의한 상태이다. 지역의 특성 등 원인으로 경영상 어려운 중·소규모 병원에 대해서는 상위 출연금 및 보조금의 지원기준에도 불구하고 75% 내외의 국고출연이 가능하다는 ‘국립대학병원 국고지원기준’에 따른 근거다. 이러한 군산시 건의에 대해 정부 예산 총괄부처인 기획재정부에서 증액 타당성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정부의 국고보조비율 상향 결정 여부 및 상향 비율이 얼마나 될지가 이 사업의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시는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의 문제점 해결과는 별개로 현재 중단된 부지매입은 예정대로 정상 추진되어야 된다고 보고 이에 대해 전북대병원 측에 토지매입 재개를 정식으로 요청했다. 시민들은 “군산의 숙원사업인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이 고전을 면치 못해 안타깝다”며 “이 사업은 군산시민과의 약속인 만큼 반드시 실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형태 시 보건소장은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은 시민들의 생존권 보장과 군산의 의료환경 개선을 위해 필수적적이다”며 “국고보조금 상향을 통한 군산전북대병원 건립의 정상추진이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군산전북대병원은 사정동 194-1번지 일원 9만8850㎡(2만9천여평)부지에 지하 3층 지상 8층 500병상 규모로 오는 2021년 개원 목표로 추진 중이다. 당초 옥산면 당북리 692번지 일원(백석제) 10만 3,286㎡ 부지에 지을 계획이었으나 새만금지방환경청이 생태 보전 등의 이유로 전략환경영향평가서를 반려하자 전북대병원측이 심사숙고 끝에 사정동으로 부지를 확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