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출시된 ‘사라지는 미래’에서 저자는 인구의 축소는 곧 시장의 축소를 의미하며 이는 경제의 붕괴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인구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중차대한 문제라는 게 이 책의 설명이다. 굳이 이런 설명이 아니더라도 오늘날 인구의 중요성은 모든 행정의 기본이자, 지자체 더 나아가 국가의 미래가 달려있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 부각됐다. 군산도 인구절벽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젊은층의 ‘탈(脫) 군산현상’이 일어나면서 지역 경쟁력이 위기에 빠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27만 5654명. 지난 9월 말까지 군산시 인구 현황이다. 보이는 수치도 아쉽지만 문제는 앞날 역시 암담하다는 데 있다. 군산 경제의 한 축을 담당하던 군산조선소가 문을 닫으면서 인구가 더욱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27만선도 유지하기도 힘들 것이라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저 출산 문제 등 인구 악재가 수면위로 드러나고 있다. 올해에만 군산에서 2000여명이 빠져 나갔다. 군산 인구는 과거 기업유치 및 투자 등이 활발하던 지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매년 3000명씩 늘다가 2013년부터 감소세로 전환됐다. 이후 인구 침체의 늪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기감에 빠진 군산시가 최근 돌파구 찾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5월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린 가운데 이번엔 인구늘리기 전담계(인구계)를 신설하기로 했다.. 군산시에 따르면 인구 전담반 신설 등 효율적인 조직운영을 위해 하반기에 행정조직 일부를 개편한다. 인구 문제를 총괄하는 ‘전담계\'가 기획예산과에 만들어지는 것. 이곳 부서는 일자리와 출산 등 인구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담당하는 사실상 업무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곳 부서는 인구정책담당 1명(6급)과 2~3명의 직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구 전담계는 저출산 종합계획 수립 및 저출산 시책 발굴, 인구늘리기 추진 등 다양한 종합계획을 수립go 나가는 한편 인구대책을 역점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의 현 상황에 발맞춰 단·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앞서 행안부는 지자체의 저출산 대응체계 인력보강 지침에 따라 지자체별 인구정책의 기획·조정업무를 담당하는 전담팀을 조속히 설치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 안은 의회의 심의를 거친 뒤 하반기 조직개편과 함께 내년 정기인사에 반영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인구가 갈수록 줄어들면서 군산도 큰 어려움에 직면한 상태”라며 “위기의 환경 속에서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조직 일부를 개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쟁력을 갖춘 효율적인 조직운영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것을 막고 다시 증가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