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경제

차세대 이차전지 음극재 군산 양산공장 가동

더블유에프엠, 10월까지 연 700톤 생산가능 규모 증설 계획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18-02-22 10:27:45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더블유에프엠(대표 이상훈)은 21일 차세대 고용량 이차전지 음극소재 상용화를 위한 군산 제1양산공장의 가동식을 개최했다.오식도동 제2산업단지에 위치한 제1양산공장은 고용량 실리콘산화물(SiOx)-흑연 복합소재 및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 양산화 공장이다.토지면적 6441㎡(약 2000평), 건평 2080㎡(약 630평)의 공간에 대형 연속식 양산라인을 비롯해 기술연구소, 대형 실험동, 창고동으로 구성돼 있다.올해 4월에는 연간 약 150톤, 10월에는 연간 약 650~700톤까지 생산이 가능한 규모로 증설할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올해 매출액 약 500억원, 영업이익 250억원의 실적을 예상하고 있다.특히 2019년 군산 제1양산공장 증설 완료 시에는 전북내 순수 음극재 기업이 더블유에프엠을 포함 7개사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이차전지부품 관련 기업 또한 190개사에서 300여개사로 증가해 이에 따른 고용인력 또한 약 7500명에서 약 1만25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와함께 지역산업거점기관 지원사업으로 선정된 전라북도의 ‘이차전지신소재 융합 실용화 촉진사업’과 교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국, EU, 미국 등으로 수출이 용이한 군산의 지리적 장점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이상훈 대표는 “ “지속적으로 세계적인 석학들과 글로벌 기업과의 공동연구와 양산적용협업에 나설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리튬이차전지와 전고체 전지의 기술개발 및 양산화의 거점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한편 더블유에프엠은 군산공장 음극소재의 및 고체전해질 양산을 본격화 하기 위해 ㈜다인스와 기계장치에 관한 공동개발 및 설치를, ㈜CM파트너스와는 실차 적용을 위한 배터리 셀 제조에 관한 공동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또한 파낙스이텍, 솔브레인(코스닥:036830), 리켐(코스닥:131100) 과는 전해액 공급계약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2~3위의 흑연양산회사와도 MOU를 준비 중에 있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