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24일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사태와 관련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이 국무총리는 이날 한국GM 군산공장 정상화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GM과 관련된 5개 부처관계자들과 함께 군산을 방문, 자동차기술융합기술원에서 군산지역 지원대책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문동신 군산시장, 김관영 바른미래당 전북도당위원장, 정부 부처 관계자 및 한국지엠 군산공장 노조 관계자, 협력업체 대표, 지역 경제단체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 총리는 “군산 등 전북지역 경제를 위해서는 한국GM이 다시 가동하는 것이 최상이라는 것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GM이 왜 이렇게 됐는지 조사하고 그것을 통해서 (GM의) 진위부터 파악한 뒤 재가동 논의도 있을 것”이라며 “공장 폐쇄로까지 간 이유와 GM측 의도를 정부는 냉철하게 조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또 “앞서 정부는 신차 배정을 포함해 재가동을 강력히 요청했다”며 “GM측이 이에 얼마만큼 진정성을 가지고 있는지도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군산공장 폐쇄를 결정한 GM의 경영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면밀히 파악한 뒤 공적자금 지원 및 군산공장 재가동 요구를 결정하겠다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와함께 이 총리는 “정부 나름대로 성의를 갖고 임하고 있지만 군산이 겪고 있는 고통이나 피해를 다 채우는데는 미흡할 것”이라며 “어떻게 하면 실직에 따른 고통이 줄어들고 지역경제가 최악의 상황에 떨어지지 않게 하는 최선의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관점으로 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하진 도지사는 “가장 절실히 원하는 바는 군산조선소와 한국지엠 군산공장의 재가동”이라며 “군산공장이 다시 회생돼 도민들이 희망가를 부를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의 각별한 대책 마련지시와 이 총리의 관심 표명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한편, 이날 군산 시민사회단체, 지엠노동자, 시민들은 군산공장 폐쇄 결정 철회를 요구하는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