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노사 임·단협 잠정합의에 따른 군산시 입장발표> 한국지엠 노사가 법정관리 직전에 극적 타결을 이뤄냈다. 한국지엠 노사는 23일 기나긴 대립을 끝내고 2018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임단협)을 도출했다. 경영 정상화의 길은 열렸지만 지역사회가 바라던 군산공장 정상화 방안은 없었다. 결국 지난 20여년 동안 지역 경제를 지탱하던 한국지엠 군산공장은 5월말 폐쇄가 사실상 확정됐다. 지역사회는 이 같은 소식에 그야말로 침통한 분위기다. 그 동안 군산공장 정상화를 외쳤던 도민들은 (이번 협상에서) 회생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했지만 아예 언급조차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지엠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로 가는 파국은 피했지만 군산공장은 역사의 뒤안길로 쓸쓸히 퇴장될 전망이어서 지역사회가 큰 충격에 빠진 상태다. 군산공장 남은 근로자 살렸지만… 한국지엠(GM)은 \"\'2018년도 임단협이 극적으로 타결돼 부도 위기를 넘겼다\"면서 \"회사 정상화와 함께 실추된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이번 임단협의 최대 쟁점은 1000억원의 복리후생비 감축 방안과 680여명의 군산공장 잔여 인력 처우 문제, 신차 배정 등. 당초 노조는 군산공장의 폐쇄 철회를 요구했지만 한 발짝 물러나 남아있는 군산공장 근로자에 대한 고용문제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노사는 군산공장 희망퇴직자를 제외하고 남은 근로자(680여명)에 대해 전환배치 및 추가 희망퇴직을 시행키로 했다. 희망퇴직 시행 이후 잔류 인원에 대해서는 희망퇴직 종료 시점에 노사가 별도 합의할 계획이다. 다만 노조가 ‘사실상 해고’라고 주장했던 4년간 무급휴직은 실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충격에 휩싸인 지역사회 ‘침통’ 한국지엠 노사의 임단협 결과 군산공장 폐쇄결정 철회가 빠진 것을 두고 군산시민들이 큰 충격에 빠졌다. 군산시와 군산시의회, 군산상공회의소는 24일 기자회견을 통해 “한국지엠 노사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군산공장 폐쇄결정 철회가 빠진 것에 대해 군산시는 비통하고 매우 참담한 심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지엠이 법정관리라는 데드라인을 정해놓고 노조와 정부를 압박해 합의를 촉구하는 고도의 전략적 전술로 군산을 희생양으로 삼은 것으로 밖에는 보여 지지 않고 있다”며 “그동안 전북도와 군산시가 한국지엠에 대해 보여준 정성과 사랑의 결과가 공장폐쇄라는 것에 대해 다시 한 번 배신감을 느끼고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이들은 특히 “정부는 한국지엠 자금 지원 시 군산공장 매각 의사를 분명히 이끌어 내 정부주도로 국내외 자동차 회사에 군산공장 재가동을 조속히 추진해서 지역경제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동신 시장은 “정부는 지금 나락으로 떨어져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군산 시민의 고통을 부디 외면하지 말아주기를 간절히 바란다”며 “이번만큼은 군산시민의 목소리가 공허한 메아리가 되지 않도록 반드시 분명한 해답을 찾아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송하진 도지사 역시 24일 호소문을 발표하고 한국 지엠 군산공장 재가동 방안 마련을 정부와 정치권에 요구했다. 송 지사는 “한국 지엠 임·단협 잠정합의안에 군산공장이 빠지면서 비통하고 매우 참담하다”며 “지난 2월 폐쇄 후 군산은 죽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어 “군산공장 재가동 방안을 마련해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국가의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이런 가운데 군산공장에 대한 마지막 희망까지 꺼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제3자 매각을 통한 군산공장 재가동이 이뤄질지도 향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편 지엠 본사는 지난 2월 13일 군산 공장을 5월 말까지 완전히 폐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