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자동차융합기술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인정한 ‘자동차 대체부품 시험기관’으로 공식 지정을 받았다. 자동차융합기술원은 24일 대체부품 인증기관인 한국자동차부품협회로부터 ‘자동차 대체부품 시험기관 지정서’를 전달받았으며, 이 자리에서 협회와 상호간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국토교통부로부터 국내 유일의 자동차 대체부품 인증기관으로 지정받은 한국자동차부품협회는 인증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부품별 시험기관을 지정해 운영하고 있다.자동차융합기술원은 자동차 대체부품 중 콘트롤암(휠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장치), 쇼크 업소버(노면굴곡에 따른 흔들림을 소멸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치)와 같은 ‘기능성·소모성 부품’분야에 관한 전문시험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자동차 대체부품이란, 자동차제조사 또는 수입사가 판매하는 순정부품의 대체품을 의미한다. 정부는 2015년부터 대체부품 인증제를 통하여 자동차 부품업체가 한국자동차부품협회로부터 대체품의 성능과 품질에 대해 인증을 받으면 이를 인정해주고 수리에 이용할 수 있도록 유통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해외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의 경우 비교적 진입장벽이 낮아 중소 부품기업의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주목되고 있다.자동차융합기술원은 이번 대체부품 시험기관 지정을 계기로 도내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국내외 자동차부품 애프터마켓 진출에 필수적인 인증 취득 및 기술적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내 자동차부품 기업의 완성차 기업 의존도를 낮추고, 나아가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여 위기를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또한, 자동차 대체부품 활성화를 통해 순정부품과 동등한 성능과 품질의 대체부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소비자의 자동차수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이성수 원장은 “이번 대체부품 시험기관 지정으로 기술원이 공인시험기관으로서의 위상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자동차융합기술원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기업지원사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자동차부품 기업들의 매출증대와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