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쇄된 한국지엠 군산공장에 대한 매각 협상이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침체된 군산경제 회생의 신호탄이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매각이 성사될 경우 전북도와 군산시가 추진하고 있는 군산형 일자리도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돼 지역사회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전북도와 군산시 등에 따르면 최근 컨소시엄 형태의 한 국내기업이 군산공장 매입에 관심을 보이며, 한국지엠 측과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업체 관계자들이 군산공장을 수차례 방문했으며, 매입을 위한 기본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과 전북도, 군산시 등에 따르면 한국지엠은 인수 의사를 밝힌 기업과 매각 대금 등을 놓고 협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토지와 건물·시설물 등을 포함해 한국지엠은 3,500억원 이상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컨소시엄 형태의 국내업체가 군산공장을 매입해 자동차 관련 제품을 생산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한국지엠과 활발히 접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지엠의 관계자도 매각 협상이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음을 시인했으며, 대상업체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협상 중이어서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 같은 움직임을 뒷받침 하듯 군산이 지역구인 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도 “산업자원통상부를 통해 한국지엠에 납품하는 협력업체들이 컨소시엄을 만들어 군산공장을 인수해 중국자동차 업체와 계약을 맺어 전기자동차를 위탁생산하겠다는 의중을 밝히고 있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군산공장은 지난해 2월 13일 전격적으로 폐쇄가 결정되고, 5월 말 공장 문을 닫아 2,000여명의 공장 직원 가운데 1,400명가량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희망퇴직을 했다.
기존 직원 가운데 600여명은 부평과 창원 등에 전환 배치되거나 유급휴직을 했지만, 군산지역 협력업체 119곳 가운데 24곳이 휴폐업하면서 1만3,000여명의 실업자가 발생했다.
이에 앞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이라는 악재가 겹치면서 군산은 정부로부터 산업과 고용 위기지역으로 지정됐다. 그만큼 지역경제가 끝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후 전북도와 군산시 등은 군산공장 재활용을 위한 조속한 매각 등을 한국지엠과 정부 등에 요청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지역사회에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한국지엠 군산공장 재가동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밝혔고, 그 중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게시된 것이 군산형 일자리다.
이처럼 군산공장 폐쇄 후 1년이 다 되도록 매각에 진척을 보지 못했던 군산공장 매각이 최근 들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컨소시엄을 만들어 군산공장을 인수해 중국자동차 업체와 계약을 맺어 전기자동차를 위탁생산하겠다는 계획이 얼마큼 실현 가능한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군산과 전북경제가 군산형 일자리 추진 등을 통해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군산공장 매각이 선결과제인 만큼, 전북도 등과 힘을 모아 정부와 정치권 등에 군산공장 매각이 원활하고 신속히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