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농가소득 증가율이 28%로 전국 1위를 기록해, 농가경제 안정화에 큰 성과를 창출해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일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서 전북의 농가소득 증가율은 전국평균 농가소득 증가율인 10.0%를 훨씬 넘은 28.0%로 나타나 전국 1위 증가율을 보였다.
또 농가소득에서도 지난 2017년 전국 9위였던 것이 지난해 2018년에 6단계 상승한 전국 3위(4,500만원)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인 4,200만원보다도 7.2%나 높은 금액으로, 농촌관광산업으로 특화된 제주도와 수도권 인접지역인 경기도를 제외하면, 전북이 전국 최고 수준이다.
또한 농가경제 건전성을 평가하는 농가부채는 지난해 전국 3위(2,570만원) 수준에서 7위(2,530만원)로 낮아짐에 따라, 농가경제가 선순환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전북도가 ‘삼락농정’에 특화된 시책을 발굴․추진하는 것에 기인한 결과로, 2015년이후 현재까지 71건, 684억원의 신규시책을 발굴 추진하면서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로컬푸드 유통체계 구축, 시설원예 경영비 절감 등 ‘제값받는 농업’ 정책이 결실을 맺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도는 앞으로, 지속적 농가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전북 농민 공익수당’ 도입과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및 ‘농축산물 재해보험’을 보다 확대할 예정이며, 중소 농업인의 안정적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로컬푸드의 공공급식 확대 등을 중점 추진해 농가 소득 및 경영안전망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도록 할 계획이다.
동시에 거점․생생마을의 안정적 운영 활성화 지원, 농촌체험 휴양마을 조성 및 도시와 청년의 삼락캠프, 권역․마을단위 종합개발 사업 등도 추진하고, 체감할 수 있는 농민 복지 증진을 위해 ‘농번기 공동급식’ 및 ‘생생카드’ 확대와 여성농업인 편의장비 등도 지원한다.
아울러, 도는 “식품․종자․미생물․ICT 농기계․첨단농업 등 5대 클러스터를 활성화할 수 있는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을 통해 전북을 아시아 농생명 산업의 수도로 집중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