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수산분야를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산업으로 육성시키기에 본격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지난 10일 전북도청에서 송하진 도지사와 김명준 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도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전북 수산업의 첨단 산업화와 미래형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내용은 전북형 첨단 스마트 양식시스템 구축과 지역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가속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대형국책연구개발 사업 공동발굴 및 유치, 상호 협력 등 이다.
협약을 체결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1976년에 설립돼 40여년 동안 우리나라의 정보통신기술(ICT)을 이끌어 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국책연구기관으로, 1982년 기존 다이얼을 돌려 걸던 전화기를 버튼 형태의 전자식 공중전화기(D.D.D)로 국산화시켜 유명해졌으며, 최근에는 5G, 인공지능, 초연결 통신 등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기관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노동집약적인 가족경영 양식 산업을 ‘아쿠아 디지털-트윈’의 활용해 친환경·스마트 시스템으로 수산업 발전을 도모할 방침이다. 아울러 ICT 분야에서의 폭넓은 기술 지원으로 도내 정보화 산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세부 추진계획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 맡겨 수립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는 전북형 첨단 스마트 양식시스템이 구축을 위해 향후 3,500억원을 투입해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빅데이터 확보, 가공산업 활성화, 인력양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참고로 아쿠아 디지털 트윈이란 “실제 양식현장과 똑같은 가상현실을 컴퓨터 속에 만들어 양식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을 테스트하고, 그에 맞는 최적의 성장 조건을 도출하여 양식현장에 실시간 반영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를 통해 컴퓨터는 그동안 축적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계획된 생산과 출하와 시장 상황에 따라 종자 입식과 성장을 조절하는 기능까지 담당하게 된다.
전북형 첨단 스마트 양식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1차 산업의 특징인 홍수출하에 의한 가격폭락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식기술의 데이터산업화로 언제, 어디서, 누구나 양식이 가능해 새로운 창업형 일자리가 창출되고, 가공·유통·마케팅·관광산업 등과 연계한 연관 산업 육성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된다.
이날 송하진 도지사는 “이번 전북형 첨단 스마트양식 시스템구축사업은 정보통신기술(ICT), 빅데이터, 기자재, 에너지 각종 첨단기술이 집약된 표준화 모델을 제시해 미래성장산업의 기반 마련과 더불어, 수산연계 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한층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