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경제

전북 군산형 일자리 후속 조치는?

상생협의회 구성․운영, 적정임금, 수평적 계열화 등 제도적 기반 마련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19-10-28 15:16:06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자체 모델개발 및 핵심부품 개발을 위한 R&D 지원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추진

 지난 10월 24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상생협약식을 성공적으로 마친 전북도가 전북 군산형 일자리의 순조로운 안착과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구체적인 실행방안 도출에 나섰다.

 도는 새만금 컨소시엄에 포함된 에디슨 모터스, 대창모터스, 엠피에스 코리아 세 기업 모두 연말에 착공식을 가진 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들어가고, 준공 전 신규로 인력을 채용하는 내년 5~6월이면 협약안의 효력이 본격적으로 발효될 것으로 보고 올해부터 오는 2020년 상반기까지 추진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와 관해 도는 첫 번째로 상생협약 이행을 위한 핵심기구인 상생협의회 운영, 업종별 적정임금 구현 등 선진임금체계 도입, 수평적 계열화를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 마련을 위해 상생형 일자리 특화 컨설팅을 추진한다.

 두 번째로는 완성차 업체의 자체 전기차 모델개발을 지원한다. 초기 생산방식인 OEM 또는 KD 조립에서 자체모델 개발 또는 ODM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①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실증센터 구축(140억원 규모), ②가변 플랫폼기반 중소형 전기버스․트럭 운영시스템 개발사업(220억원 규모)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소 부품기업들의 기술자립화를 위한 ①전기․자율차산업 육성사업(346억원 규모), 전기․전장 핵심부품 솔루션 지원 등 연구기반 구축을 위한 ②전기동력자동차 전기․전장 산업생태계 구축사업(30억원 규모), ③전장부품기업 현안해결 리빙랩 R&D 지원사업(10억원 규모), ④친환경 전기․전장부품 시장창출 지원사업(56억원 규모) 등 전기차 핵심부품 개발을 통해 조기양산을 위한 사업도 지원한다.

 더불어 여기업과 부품업체 R&D 지원과 병행해 삼성 SDI, SK 등 전기차 배터리팩 공장을 적극 유치해 전기차 클러스터와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계획이며, 국내․외 마케팅 지원사업과 새만금 주행시험장과 주요 연구기관에 구축된 장비와 인력, 자율주행테스트베드(2020년)를 혁신적으로 운영해 기업의 조기 착근을 지원하고, 도내 대학교와 연계 협력을 통해 전기자동차 전문인력 양성, 전문학사 및 전문 R&D 인력양성 과정 개발, 현장실습 지원 등 전기자동차 산업관련 인재를 양성할 방침이다.

 마지막으로 도는 전북 자동차산업을 친환경 자동차산업으로 체질을 개선해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지정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해 지난 9월 규제자유특구 우선협상 대상에 선정됐고, 주민공청회 및 지역혁신협의회 의견 수렴을 통해 특구계획서를 보완해 제출한 상태로, 이달 31일 중기부 장관 주재로 열리는 규제자유 특구심의위원회를 거쳐 11월 초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될 지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올해부터 협약의 실질적인 효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전북도에서는 상생협약 핵심내용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면서 “전국적으로 처음으로 지역공동교섭 등 선진 노사관계 시스템을 도입하는 ‘전북 군산형 일자리’가 조기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도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고 전했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