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항 인입철도건설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이로써 새만금은 국제공항과 신항만, 철도 등 ’트라이포트‘ 물류체계 구축이 가시권에 들어섰다고 볼 수 있다.
전북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지난 19일 재정사업 평가위원회를 열어 ’20년도 예비타당성조사를 시행할 대상사업을 선정한 결과 지난 10월 국토부에서 기재부에 신청했던 새만금항 인입철도건설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최종 포함시켰다고 밝혔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정부나 지자체가 국가 재정 지원이 300억원(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을 넘는 대규모 사업 시행 전에 사업타당성, 경제성, 재원조달 방법 등을 검증·평가하는 제도로써, 국토부의 사전타당성조사 결과에 대한 검증과정이라 할 수 있다.
새만금항 인입철도의 경우 이미 지난 2016년 6월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신규 사업에 반영, 2019년 국토부에서 시행한 사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B/C=1.11)이 입증됐기에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도 순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입철도가 예타를 통과해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게 되면 새만금 대규모 핵심기반시설인 국제공항, 신항만과 더불어 트라이포트 물류체계 완성에 대한 기대로 지역경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현재 건설 중인 새만금 신항에서 대야역까지 화물과 여객을 수송하는 용도로 건설할 계획이다.
새만금신항~대야역에 이르는 47.6km 중 새만금신항~옥구신호소 구간(29.5km)은 단선전철로 신설하고, 옥구신호소~대야역은 비전철인 군장산단선 구간(18.1km)을 전철화해 연결한다.
지난 6월 사전타당성조사 결과 총사업비는 1조2,953억원이며, 국토부에서 예상한 소요 기간은 설계 3년, 공사 4년으로 2020년도 예비타당성조사 추진 후 2021년도에 설계에 착수하면 2027년도에 준공할 수 있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현재 2020년 개통 예정인 군장산단 인입철도, 익산~대야 복선전철을 통해 새만금 신항~국제공항~장항선·호남선·전라선까지 연결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새만금을 향한 접근성과 수송능력 등이 증가해 산업물동량 처리뿐 아니라 인적 교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어 새만금지역 내부개발 촉진은 물론 국가 균형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