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규항로 개설․컨테이너 화물 확대 등 자구노력 미비
좀처럼 경영의 어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군산컨테이너터미널㈜(대표이사 신길섭․이하 GCT)에 대한 정부지원이 4년째 이어진다. 다만 직접적인 지원이 아니라 선석 이용에 따른 임대료를 ‘해수부의 무역항의 항만시설사용 및 사용에 관한 규정’에 따라 감면해 주는 형식이다.
지난 2004년 설립된 GCT는 2,000TEU 컨테이너부두 군산항 6부두 63·64 2선석을 오는 2024년까지 임대해 운영한다. GCT는 설립 당시 자본금 93억원 중 CJ대한통운 27.6%, 세방․선광이 각각 27.2%, 전북도와 군산시가 각각 9%을 출자해 만들어졌지만, 설립 원년부터 물량 부족으로 고전을 면치 못해 현재 재무상황은 자본금 93억원 전액이 잠식됐고, 부채만 30여억원에 이른다.
최근 군산지방해양수산청(청장 박정인)은 GCT의 요구에 따라 임대료 감면을 계획하고 있다. 이번 임대료 감면이 이뤄질 경우 GCT 임대시설 17만2,431㎡에 대한 전체 임대료 중 2억여원을 감면, 2017년부터 4년 동안 임대료를 감면해 주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군산해수청이 단서 조항을 달긴 했다. 신규항로 개설, 컨 화물 확대 등 부두운영 활성화 개선 대책에 대한 자구노력이다. 군산해수청은 이 같은 자구노력을 평가해 추후 임대료 감면 요구 때 실적을 평가하겠다고 밝혔지만 이 같은 조건부 임대료 감면은 지난해에도 있었다.
더욱이 지난해 8월 군산해수청이 GCT와 오는 2024년 8월 20일까지 5년간 컨 부두 임대 재계약을 하는 과정에서 크레인 교체, 항로 개설 등 경영 정상화를 위한 자구책 마련 등을 담은 ‘자립 경영 기반 확보’라는 단서를 달았지만 크게 나아진 것은 없다.
군산해수청과는 별도로 전북도와 군산시가 이곳 GCT에 지원하는 것이 또 있다. 지난 2015년부터 14억8,4000여만원에 달하는 하역사 인센티브도 지원하고 있다. GCT를 이용하는 컨 물량에 대해 1TEU 당 1만5,000원씩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물론 GCT가 군산해수청의 요구처럼 자구노력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실제로 지난해 신규항로개설과 컨 화물 증대를 위한 노력을 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수출입 물동량이 14% 감소한 상황에서 운영전산시스템 교체를 통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6억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입하기도 했다.
이처럼 군산해수청의 임대료 감면과 재계약 등에 빠지지 않고 단서조항으로 붙어 다니는 자구책 마련 등은 요원한 상황에서, 지원이 계속 이어지는 것이 맞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이에 대해 GCT의 한 관계자는 “GCT는 민간이 운영하는 컨 부두지만, 사실상 군산항의 현재와 미래를 위한 SOC라는 측면도 크다”며 “자체적으로 자구노력을 하고 있으면서도, 국내외적인 원인으로 정상화로 가는 길이 험난하지만 최선을 다 해 정상화를 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군산해수청의 한 관계자는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와 코로나19 확산으로 컨 화물 감소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GCT가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특히 항로 적정 수심이 확보되지 못해 신규선사 유치가 어려워 임대료 감면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