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항 활성화를 위해 항만관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지원방안을 강구하는 자리를 가졌다.
13일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물동량 등 동향 및 피해상황과 분야별 애로 및 건의사항, 행정적 지원방안 등 논의하기 위해 전북도․군산시․군산항만물류협회․서부항운노조․ CJ대한통운․석도국제훼리․ 한솔로지스틱스 등 14개 기관‧항만 관계자들이 모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현재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 군산항 활성화위한 방안을 찾는데 열띤 토론을 진행했다.
군산항은 국제무역항으로 도내 기업의 수출입 창구 및 중국 카페리 여객선 운항 등 서해 중부권 관문항으로써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 2월부터 군산-석도간 국제여객선은 여객 운송을 전면 중단하고, 화물운송도 주 6회에서 3회로 줄여 운영하는 등 적자가 누적돼 존폐위기에 처해 있다.
또 자동차 수출입량과 일반 화물 물량이 감소하고,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GM 군산공장 폐쇄까지 겹치며 군산항 관계자 및 종사자들은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
이에 전북도는 선사, 부두운영사, 하역사, 항운노조 등의 지원대책 및 개선방안을 찾는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검역 및 통관시스템 보완을 위해 검역소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고 인센티브 제도 개선과 항만시설사용료‧임대료‧항비 감면을 위해 노력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신규화물 유치를 위한 항만시설 개선과 특송장치장, 냉동창고, 복합 자동차 단지 등 연계시설 확충에 최선을 다한다는 계획이다.
우범기 정무부지사는 “코로나 19 장기화에도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군산시, 군산해수청과 협력해 인센티브 제도 개선 및 군산항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시책과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