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이 국내복귀 기업의 생산거점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발판이 만들어졌다. 전북도와 군산시, 새만금개발청이 함께 국내복귀를 희망하는 기업의 상황과 니즈를 고려한 실효적인 지원방안을 마려한 것.
지난 23일 도와 시, 새만금청은 저렴한 임대용지 공급, 지자체 보조금 추가지급 등 새만금에 입주하는 국내복귀 기업에 대한 적극적이고 공세적인 지원책을 마련했다.
정부의 지원에 더해 새만금청과 지자체가 추가로 내놓은 지원책인 만큼 코로나19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으로 해외에서 국내복귀를 고민하는 기업에 새만금이 매력적인 투자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지원방안은 새만금청이 내놓은 장기임대용지 우선 공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권과 함께 도의 각종 보조금 지급과 기타 지원, 시의 본사 이전 기업 추가 보조금 지원 등으로, 기업의 복귀 준비부터 사후정착까지 전 과정을 기업 수요 맞춤형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새만금청은 최장 100년까지 임대가 가능(1㎡당 1년간 약 1,300원)해 기업 선호도가 높은 장기임대용지를 국내복귀 기업에 우선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새만금 산업단지 개발 및 실시계획’에 국내복귀 기업용으로 전체 33만㎡, 임대용지 16.5만㎡를 반영할 계획이다.
또 국내복귀 기업이 첨단산업 분야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경우, 투자 건별로 협상을 거쳐 수상태양광 발전사업권을 부여하는데, 새만금청 소관의 수상태양광 발전용량 1.4GW 중 일부가 해당하며, 구체적인 사업권 부여조건 등은 추가로 검토할 방침이다.
도는 설비투자금액의 5%(전용산단 10%), 첨단산업 및 R&D센터 이전 시 10%, 유사 연관업종 2개 이상의 기업이 집단화 이전 시 1%의 투자보조금을 추가 지원할 뿐만 아니라, 대기업 본사 동반이전 시 최대 300억원까지 지원하며, 도내 복귀기업에게 공장 이전 및 컨설팅 비용의 20% 한도 내에서 기업당 최대 4억원까지 지원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정부의 고용보조금 지원 외에 기간을 달리해 추가로 2년간 최대 10억원까지 확대 지원하고, 근로자의 주거안정을 위해 직원 기숙사 신축비를 30%까지(최대 10억원) 또는 숙소 임대료를 연 1억원 한도 최대 5억원(5년)까지 지원을 확대해 근로자 복지 향상 및 정주여건 개선으로 투자유치를 강화할 계획이다.
시는 3년 이상 사업영위, 상시고용 5명 이상 조건으로 새만금에 본사를 설립하거나 이전하는 경우에는 1억원 초과 투자금액의 10% 범위 내에서 최대 50억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도와 시, 새만금청은 국내복귀 기업의 새만금 입주를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규정 및 조례 개정 등의 후속조치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도내 연고 해외진출 기업 및 첨단·주력산업 관련기업을 타깃기업으로 선정하고, 타 시도와 차별화된 인센티브 홍보와 투자유치 활동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