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센티브 국비 3억 확보…전주․군산 등도 수상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등 최악의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송하진號(호)의 2019년 ‘위기전환 일자리 대책’이 전국 평가에서 광역 시․도 1위를 차지하는 영광을 안았다.
전북도는 29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고용노동부 주관으로 열린 ‘전국 자치단체 일자리 대상 시상식’에서 일자리정책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 이날 시상식은 정세균 국무총리,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등 중앙부처 인사와 수상 지자체장, 관계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도에서는 우범기 정무부지사가 정세균 국무총리로부터 대상 상패를 수여 받았다.
도는 2017년 종합대상, 2018년 최우수상, 2019년 우수상 수상에 이어 올해 일자리정책분야 평가에서 광역시․도 1위로 ‘대상’의 영예를 안으며, 4년 연속 수상과 함께 인센티브 3억원을 확보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는 전주시가 최우수상을, 군산시․남원시․완주군․무주군․순창군이 각각 우수상을 받아 지역에서 1차 자체 평가를 거쳐 중앙으로 추천한 6개 시․군 모두가 수상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는 도가 지난해 역점적으로 추진한 ’위기전환 일자리‘ 정책이 시․군에까지 확산․정착했고 전북 지역 전체가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노력했다는 것을 중앙정부로부터 인정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대상 수상은 최악의 고용위기 상황에서 도가 추진해 온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위기전환 일자리 대책이 정부로부터 최고의 평가를 받은 것이어서 의미가 매우 크다.
더불어 이러한 성과를 일궈낸 것은 도가 고용시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전북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일자리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등 위기 돌파를 위한 정책 수립과 전략적 추진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도는 군산발 고용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전북이 다시 일어설 수 있도록 고용창출과 고용유지 효과가 높은 삼락농정, 중소기업 등 4대 부분을 ’위기전환 일자리‘의 핵심대책으로 선정하고 모든 행정력을 집중했다.
대기업이 떠난 폐허의 위기 극복을 위한 전북 군산형 일자리, 기업규모에 따른 중소기업 성장사다리 육성정책, 소상공인 3단계 보호정책,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등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종합지원 정책 등 지역 일자리 여건에 맞는 위기전환 일자리 대책을 내실 있게 추진했다.
덕분에, 도는 지역 주력산업 침체 속에서도 좋은 일자리로 평가되는 상용근로 수가 40만명을 기록, 지난해 대비 전국 평균 증가율(3.2%)을 넘어선 3.7%로 급증했다. 2018년 58.3%였던 고용률도 2019년 59.3%를 기록, 한 해 1%p 상향 조정됐다. 전국 평균 증가율이 0.2%p인 점을 감안하면 5배 가까운 수치다.
또한 자치단체의 일자리 시책에 대한 정성평가에서 송 지사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의지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실제, 송 지사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자리경제국을 2급 핵심부서인 일자리경제본부로 격상하고 담당자 역량강화 및 승진확대 반영 등 대내적 역량을 강화했다.
송하진 지사는 “최악의 고용위기 상황을 맞았지만, 전북도는 고심과 합심을 통해 마련한 위기전환 일자리 대책을 묵묵히 추진했다”며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전북도의 일자리정책이 중앙정부로부터 우수성을 인정받은 이번 평가 결과는 어느 때보다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주요 고용지표에서 상당 부분 개선됐지만,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중소기업 고용안정대책, 소상공인 경영안정화, 여전히 팍팍한 청년취업문제 등 해결해야 할 현안이 많다”면서 “이번 일자리 대상 수상이 도민이 체감하고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의 일자리와 경제 대책에서도 최선을 다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지난 2010년부터 매년 243개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고용률, 취업자 등 정량지표와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자치단체의 일자리 대책의 적합성·효과성 등 정성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 지자체를 시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