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가 해상풍력 산업의 본격 추진과 그린뉴딜 및 해상풍력 밸류체인의 구축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도는 17일 해상풍력 관련 기업 투자유치를 위해 터빈 제작업체 등 5개 기업과 ‘전북 해상풍력 기업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업무협약에는 송하진 지사와 두산중공업, 효성중공업, 유니슨 등 터빈제작 3개 사와 CS윈드, 삼강M&T 등 타워구조물 2개사 대표가 직접 참석했다.
협약에 참여한 5개 기업은 전북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함에 있어 국산 풍력발전기의 보급 확대, 연관산업 육성과 지역발전을 위해 도와 관련 업체 간 협력 범위 및 역할 등을 설정했다.
협약에 따라 도는 각 터빈사가 개발 중인 해상풍력 발전기의 성공적인 개발을 전제로 해당 해상풍력 발전기가 본 사업에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해상풍력 부품 및 설비 제조기업의 도내 투자유치를 위해 행․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하였다. 협약 기업들은 일정 규모의 물량이 확보되는 경우, 투자를 통해 도내 지역에서 풍력발전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약속했다.
이번 협약에 참석한 기업들은 전북의 해상풍력 밸류체인 구축을 위해서 필요한 핵심 기자재인 터빈, 하부구조물, 타워 제조업체로서 도내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물량배정 확정 시 생산공장 설치 등에 투자할 예정이다.
도는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와 군산 어청도 인근 해상풍력 발전단지 등의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됨에 따라 터빈, 타워, 하부구조물, 블레이드 등 해상풍력 기자재의 물량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전북은 서해안의 중심지로서 인천 및 충남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물량을 공급하는 데에도 지리적 접근성이 우수해 기업유치 조건에도 유리한 점이 있다.
이와 함께 해상풍력 관련 기업이 도내 공장 이전 시 관련기업 육성, 핵심인력 양성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침체된 도내 경제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2020년부터 2028년까지 사업 규모 2.4GW에 14조원을 투자해 9만 개 일자리 창출, 23조원 경제 유발효과, 30개 해상풍력기업 유치와 함께 탄소발생 저감을 통한 환경보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GW 군산 어청도 인근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국비 35억원을 투자해 해상풍력 적합입지의 풍황자원측정, 해양환경조사, 주민수용성을 확보하고 2023년 이후 발전단지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