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항이 화물유치를 위한 배후물류거점으로 육성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내 유일한 수출입관문인 군산항이 한중 구간의 해상전자상거래 화물유치에 전략적 입지 강점이 있는 점을 활용해, 민간통관업체 유치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김선기 전북연구원장은 이슈브리핑 ‘군산항에 비수도권 해상전자상거래 특구를 조성해 비대면 경제시대 신성장동력을 창출하자’를 통해 코로나19로 가속화되는 비대면 경제시대에 대응하는 새로운 지역발전 전략을 제시했다.
현재 인천과 평택에서 운영 중인 해상전자상거래 통관장 처리물동량이 급증하고 있고, 주요 물류기업이 수도권 지역 대형물류기지를 조성하는 추세에, 군산항을 비수도권 해상전자상거래 특구로 육성하는 것은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당위성과 시의성을 갖추고 있다는 의견이다.
국제전자상거래 화물의 중요성, 긴급성을 고려해 대부분 항공물류를 활용하고 있지만, 중국 산둥성 지역과 우리나라 서해안 지역은 익일 수송이 가능한 16개의 한중 해상카페리(cargo-ferry)루트를 보유하고 있어, 해상카페리수송구간은 항공물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신속성에서 경쟁이 가능하다.
이에 연구진은 군산항 배후에 전자상거래 물류거점을 유치할 경우 비수도권 택배물류거점(대전, 옥천)과 거리상 인접성, 통관 신속성의 강점을 부각해 일반적으로 7~8일 소요되는 한중 전자상거래 화물을 3~4일 내에 받아볼 수 있는 물류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군산항 배후에 해상전자상거래 통관장을 조성해 연간 5,000TEU의 화물을 처리할 경우 304억원 가량의 직접적인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유일한 전라북도 지역 선사인 석도국제훼리(주)의 코로나19 위기 타개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나정호 박사(산업경제연구부)는 “현행법에서 허용하는 민간특송업체의 자가통관장 운영규칙을 적용해 급증하는 해상전자상거래 물동량 처리를 위한 물류거점으로 전북도와 군산항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어필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경제와 군산항 활성화의 일환으로 관계기관이 협력해 전략적인 대응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