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영대 의원 “재가동‧매각 포함한 안정적인 운영 위해 노력 중”
군산과 전북경제를 한순간에 나락으로 몰아넣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 문제가 해를 넘겼지만 뚜렷한 실마리가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신영대 국회의원이 현대중공업 임원진을 만나 군산조선소의 재가동·매각 등의 활용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해지며, 세계 최대 골리앗 크레인을 세운지 7년 만에 가동을 멈춘 군산조선소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신 의원은 지난해 4.15 총선 공약으로 3년째 가동중단 상태인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의원직을 걸고 약속했지만, 해를 넘긴 지금까지 구체적인 재가동 계획 또는 활용 방안은 오리무중이다.
군산경제의 25%를 좌우하며 5,000여 개의 일자리를 선사했던 군산조선소는 세계적인 불황에 수주 물량이 급격히 줄어들자,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7년 7월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카드를 꺼냈다. 이로 인해 협력업체 폐업과 4,700여 명의 지역근로자의 대량 실직이 잇따르며 지역경제에 충격을 안겼다.
당시 현대중공업 고위관계자는 “2019년 조선업계 상황이 호전돼 연간 선박수주 규모가 70척이 넘으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검토하겠다”며 군산시민을 비롯한 전북도민에게 재가동이란 사탕봉지를 내밀며 기대를 갖게 했지만, 군산조선소에 태양광발전소를 추진하는 등 눈앞의 이윤만을 쫓는 대기업의 특성을 여실히 보여 비난을 자초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1∼2년 사이에 국내 조선업계는 최대 단일규모 선박 수주를 성공하며 이에 따른 조선업 고용이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옴에 따라, 군산조선소가 재가동 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갖게 했다.
실제로 전 세계 조선업계는 코로나19 여파로 극심한 수주가뭄을 겪었지만 국내 조선업체들은 우수한 기술력을 무기로 지난연말에 많은 물량을 수주,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의 69%에 달하는 72만CGT(표준화물선환산톤수)를 수주하며, 중국(25만CGT·24%)을 따돌리고 국내 대형 조선 3사(현대중공업그룹의 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가 전 세계 주요 수주물량을 싹쓸이했다.
이처럼 표면적으로 보면 국내 조선업체가 전 세계 물량의 상당수를 수주했다고는 하지만, 이는 예전의 70%도 미치지 못하는 수주물량이며 선가하락 발주로 인해 수주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중공업그룹은 2조원 규모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 절차를 밟고 있고, 건설장비 생산업체인 두산인프라코어 인수도 진행하는 등 몸집 키우기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어서 군산조선소 재가동 문제가 이들에게는 우선순위일리 없다. 이렇듯 수주물량이 늘어나며 국내조선업에 들어왔던 빨간불이 파란불로 바뀌고 있다는 희망적인 소식들이 들려오지만 군산조선소 재가동만은 감감무소식이다.
이와 관련해 신영대 의원은 “전 세계적으로 국내 조선업체가 최근 1∼2년 동안 많은 물량을 수주한 것은 맞지만,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물량에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현재 현대중공업 고위직과 만나 재가동 또는 매각을 통한 활용 등을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당장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이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거시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라며 “이를 포함한 모든 문제가 시민의 바람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에 의원직을 걸었다. 이에 의원직과 군산조선소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 200만 전북도민과 28만 군산시민이 더 이상 희망을 잃지 않도록 가시적 성과를 보여줘야 할 때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가진다. <유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