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함께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도내 중소선박 생태계 구축 등 전북형 그린뉴딜 선도와 조선산업의 대전환을 위한 상생회의가 개최돼 지역민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또한 지난해 도내 조선업체의 현장 설문조사 결과 분석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조선산업 발전 상생 전략 마련을 위한 ‘조선산업 발전 상생전략 생태계 구축 연구용역’ 추진 결과 보고와 사업화 전략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아울러 현대중공업 협력업체, 중소형 조선사, 조선해양기자재사 등 3그룹에서 7개 세부과제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먼저, 가동이 중단된 군산조선소 협력업체들은 일감 부족 등의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해상풍력 및 해양구조물 진출과 배후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3개 사업, 235억원을 제안했다.
실제로 해상풍력 구조물 제작 실증기술 지원사업(12억원), 하부구조물 설계·해석 엔지니어링 서비스 지원 사업(3억원), 해양 구조물 공동 배후물류 단지 인프라 조성 사업(220억원)을 제시했다.
군산조선소 가동 이전부터 자생하고 있는 도내 중소형 조선사들은 ▲소형 건조 계류 시설 구축(20억원) ▲ 중소형 선박 개조를 위한 기술개발(R&D) 지원(10억원)을, 조선해양기자재사는 ▲ 친환경 연료 추진선 기자재 기술개발(R&D) 지원(40억원)과 함께 ▲ 벙커링 인프라 구축(20억원) 사업을 제안했다.
우범기 정무부지사는 “도내 조선업 위기 극복 대책 방안 마련을 위해 전북 조선산업 발전 전략 수립 및 추진 로드맵을 계획하고 산‧학‧연‧관이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라며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함께 중소선박 및 조선기자재 업체들과 중소선박 생태계 구축을 위해 관계자,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전북도는 대상 그룹별 지원 요청한 7개 과제에 대해 시급성, 중요성 등을 고려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단기 및 중‧장기 과제로 구분해 사업을 구체화해 국가 사업화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