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의 청년플랫폼인 ‘청년뜰’의 멘토링과 취창업 프로그램과 연계해
군산시가 올해 청년일자리 사업에 시동을 걸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청년 고용창출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청년고용기업에 인건비지원, 미취업 청년에 구직활동비와 일 경험 등 다각적인 시책으로 양질의 청년일자리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
‘전북형 청년취업지원사업’은 중소기업이 청년을 신규채용하면 기업에는 최대 1년간 매월 50~65만원을 지원하며, 참여청년에게는 최대 300만원의 취업장려금을 지원한다.
청년에게는 수습기회를 제공하고 경력을 쌓게 해 정규직 전환가능성을 높여 호응이 높은 사업으로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일자리정책과로 문의하면 된다.
‘군산형 청년수당’은 사회진입에 필요한 구직활동비를 50만원씩 최대 6회를 지원해 미취업청년들의 생활안정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만39세까지의 중위소득 150%이하 군산청년 100명을 상하반기(3월, 7월 예정)에 나눠 선정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모바일 군산사랑상품권으로 수당을 지급할 계획이다.
일하는 청년에게 복지포인트를 제공하는 사업인 ‘전북 청년지역정착지원사업’은 농업, 제조업 중소기업, 문화예술분야 등 7개 분야에 종사하는 청년에게 월 30만원씩 최대 12개월간 복지카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145명에게 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시는 지역상황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해 청년에게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고, 일경험을 통해 경력을 쌓을 수 있도록 돕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전기차산업 관련 일자리 138명, 디지털청년일자리 20명 등 9개 사업에 299명의 청년에게 민간기업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사업’은 오는 2월부터 기업모집을 시작으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공공부문 청년멘토사업’은 군산에 거주하는 군산 내 대학 미취업 졸업생에게 공공기관에서 행정 실무경험을 제공하는 하는 사업으로 군산시에 주소를 두고 있는 만 34세 이하 미취업청년 15명을 오는 29일까지 모집한 바 있다.
가구별 기준 중위소득은 120%이하여야 하며, 서류심사를 거친 후 적격자를 대상으로 전산 공개추첨을 통해 최종대상자를 선정, 오는 2월부터 12월까지 약 10개월간 군산시 각 부서에 배치돼 공공행정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방학기간 중 대학생이 행정업무를 체험할 수 있는 ‘대학생 일자리사업’에는 136명의 대학생이 참여하고 있고 있으며 여름방학인 7월에도 136명의 대학생을 모집, 선발해 일경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각 사업에 참여하는 청년들은 군산의 청년플랫폼인 ‘청년뜰’의 멘토링과 취창업 프로그램과 연계해 본인만의 커리어를 쌓도록 돕겠다”며 “민간기업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리 지역에 청년 고용환경이 보다 나아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업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일자리정책과(450-4382~4)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