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 허브 “당장은 중고차와 농업기계 위주, 추후 확장성 검토해야”
새만금 자동차 수출복합센터 조성사업의 본격적인 추진을 위한 민간사업자 선정에 두 곳의 업체가 참여의 뜻을 밝히고 있어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다만 이들 두 업체가 지역의 자동차․조선기업들의 바람인 재제조 등을 통한 활성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고차+건설기계+농업기계+특장차’ 클러스터 조성 등을 통한 확장성과 관련해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선정을 앞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최근 군산시가 민간사업자 선정을 위한 사업계획 접수를 마감한 결과 군산자동차무역센터(주)(대표 설영길)와 모빌리티 허브(주)(대표 정선철) 두 곳이 참가 의향을 밝혔다.
시는 접수된 사업계획서를 사전 검토 후 신청된 사업계획의 투명성, 공정성,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4개 분야(건축․토목․재정․물류분야)에 7명의 전문가로 된 평가위원회를 구성, 25일쯤 평가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우선협상자 선정을 완료한 후에는, 공공성과 수익성을 모두 담을 수 있도록 6월까지 우선협상대상자와 협상을 완료할 예정이다.
시는 그간 정부부처의 사전 행정절차 이행과 입지 확정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됐지만, 이번 민간사업자 확정을 통해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만큼 2023년 상반기 개장 계획에 맞춰 속도감 있게 사업을 진행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새만금 자동차 수출복합센터 조성에는 모두 1,050억(국비 275․도비 112․시비 112․민간 551억)의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도․시비 48%와 민간사업자가 52%를 부담해 토지매입과 시설을 갖춰야하는 구조다. 다만, 전체 사업비 중 토지매입비 증감에 따라 시설비도 유동적인 상황이다.
이번 공모는 새만금산업단지 19만7,824㎡(약 6만평) 부지에 선진형 유통구조의 ‘중고차+건설기계+농업기계+특장차’의 수출·매매시설을 집적화하는 시설의 민간사업자를 모집하는 것으로, 최종 선정된 민간사업자는 민간부분 재원을 투입하고, 조성이 완료되면 전체 운영권을 갖게 된다.
당초 시의 기본방향은 이곳을 비대면 유통시스템, 친환경 유통단지 등 자동차 복합문화 공간으로 조성해 선진국형 중고차 유통기지로 구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확장성을 통한 발전을 꾀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사업의 성공 열쇠가 될 것이라는 지적에 따라, 중고차만 취급하는 것에서 벗어나 ‘중고차+건설기계+농업기계+특장차’를 함께 취급하는 클러스터 조성도 이번 민간사업자 선정에 포함시켰다.
이런 가운데 이번 민간사업자 선정에 참여한 두 곳의 업체가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확장성에 조금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먼저 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확장성에 사업의 무게를 두고 있는 군산자동차무역센터(주)는 “1,000억원 넘게 들여서 조성되는 새만금 자동차 수출복합센터가 단순히 중고차만 취급하는 것은 부가가치를 높이고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다”며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과 경쟁하는 동시에 지역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담을 수 있는 사업으로 발전해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중고차+건설기계+농업기계+특장차’ 모두를 취급하는 확장성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반면 확장성을 당장 사업에 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모빌리티 허브(주)는 “현실적으로 19만7,824㎡ 부지에 들어서는 새만금 자동차 수출복합센터에 ‘중고차+건설기계+농업기계+특장차’ 모두를 취급하는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은 공간적․재정적으로 무리”라며 “당장은 중고차와 농업기계 등을 취급하는 곳으로 성장시키고, 추후 이곳이 안정화되면 인근에 추가로 부지 등을 확보해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와 관련해 시의 한 관계자는 “사업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견실한 기업을 선정해 반드시 사업을 성공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뿐 아니라 자동차 수출시장의 메카로써 성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