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지역에서 생산되는 자동차 대체인증부품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17일 전북도와 군산시, 경기도가 군산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 자동차 대체인증부품산업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제품 확산을 통한 상생·협력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자동차 대체인증부품산업을 전국 최초로 발굴 지원하고 있는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강임준 군산시장, 이재명 경기도지사, 자동차대체부품협의회 관계자, 관련기업 등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전북지역에서 생산한 자동차 대체인증부품을 국내 최대 부품유통 지역인 경기도가 유통과 소비를 활성화해 관련 시장을 육성 지원한다는 데 그 뜻을 모으면서 마련됐다.
협약을 통해 ▲대체인증부품 활성화 사업 기반 조성 ▲대체인증부품 생산, 유통 및 소비지원 ▲소비자 인식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및 정책사업 기획 ▲대체인증부품 소비 확대를 위한 대국민 홍보에 관한 사항 등을 상호 협력해 나가게 된다.
이로써 우수한 대체인증부품을 개발하고도 판로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도내 기업들이 유통망을 확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됨으로써, 도내 대체부품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자동차 소비자들이 순정품과 비슷한 품질에 가격은 저렴한 대체인증부품을 활용해 경제적 부담을 덜 것으로 전망된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대체인증부품 산업의 성장토대이자 가장 큰 어려움이기도 한 판로 개척에 경기도가 함께 하기로 해 지역의 기업을 살리고 전국의 소비자를 이롭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기업들이 최선을 다 해 만든 제품을 알리고 팔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매출이 오르고 일자리가 생기며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선순환을 실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임준 시장은 경기도와 특별한 인연을 강조하면서 “오늘의 업무 협약을 통해 경기도가 군산에서 생산한 대체인증부품의 유통 소비확산을 위한 동반자가 되기를 희망한다”며 “대체인증부품 산업이 한층 더 빨리 성장하고 활성화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순정품 제품과 품질은 유사하고 가격이 저렴한 대체인증부품의 확산을 통해 소비자는 부품선택권이 다양해지고, 대기업에 의존하지 않는 시장을 갖게 될 것”이라며 “소비촉진과 공정경제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시는 국토교통부, 전북도와 함께 일감창출형 대체부품산업 생태계 구축사업을 지난해부터 지원하고 있으며, 12개의 부품을 인증 받았다. <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