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1 후속조치’ 추진방향 제시 통한 체계적인 지원 계획
“정부 상생형 지역일자리 선정을 계기로 전북 군산형 일자리가 드디어 본궤도에 오를 준비를 마쳤습니다. 미래 신산업으로 전북 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전북 군산형 일자리가 전국 최대의 전기차 생산기지로 성장해 전국적인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우범기 전북도 정무부지사가 전북 군산형 일자리의 성공적인 지역 안착을 위해 참여기업과 소통 행정에 나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전북도는 21일 ㈜명신에서 우 부지사 주재로 ‘전북 군산형 일자리 후속조치 현장 보고회’를 열고 정부 상생형 일자리 지정 이후 후속조치 계획을 논의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박호석 명신 부사장과 안창호 군산시 경제항만국장, 김현철 군산대 교수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그간 추진상황과 향후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명신의 생산 준비 현장을 둘러봤다.
이날 도는 협업체계 구축, 참여기업의 조기 안착 지원과 이행방안 구체화‧실행, 전기차 산업 육성에 더해 이행상황 점검이라는 ‘4+1 후속조치’ 추진방향을 제시했다. 이는 군산형 일자리의 조기 안착과 함께 본격적인 확산세를 펼치겠다는 복안이다.
우선 도는 참여기업의 조기 안착 및 경쟁력 강화 지원을 위해 관련 부서 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지원계획 구체화하고 애로사항을 발굴 지원할 계획이다.
지원계획 구체화, 추가 인센티브 발굴·지원, 애로사항 해결 지원 등은 함께 고민해 나가며, 일자리경제본부는 협약 이행 총괄 관리·지원, 상생협의회 운영 지원을, 혁신성장산업국은 R&D 등 기업지원을 통한 전기차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친환경 자동차 보급, 전기차 충천 인프라 확대는 환경녹지국에서 힘을 보탠다.
또한 기업의 조기 안착을 위해 경영안정 자금, 고용안정 및 인력양성, 근로자 복지 등 기존에 확보된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추가적인 인센티브 확보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특히 올해는 특화 컨설팅을 통해 Value Chain 연계사업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고, 노동자 이사회 참관제, 공동근로복지기금, 선진형 임금체계 도입 등 협약 이행방안을 마련해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전북 군산형 일자리를 마중물로 친환경차 중심의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친환경자동차 규제자유특구, 기반 구축 및 연구개발사업 등을 통해 전국 최대의 전기차 클러스터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조기안착과 사업 본격화 등 협약 이행상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해 불이행 시 단계별 제재 조치안을 구체화해 전북 군산형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전북 군산형 일자리의 핵심 기업인 명신은 올 6월부터 대창모터스의 다니고 밴을 3,000대 위탁 생산한다. 당초 4월 말 출시할 계획이었지만, 품질개선 등의 이유로 1달가량 미뤄져 6월 중 출고행사를 시작으로 본격 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또 2022년부터는 해외 3개사의 전기 SUV 1만5,000대를 본격 위탁생산을 시작해 2024년까지 총 20만여 대를 생산할 계획으로 생산설비를 준비하고 있다.
이어 새만금 제1공구에 입주하는 ㈜에디슨모터스는 지난해 9월부터 신규공장을 착공, 당초 계획보다 빠른 올 6월 말 완공 예정으로, 5월부터 신규인력 83명을 채용 중이다. 이외에도 ㈜대창모터스, ㈜MPS코리아, ㈜코스텍은 올해 상반기 중 착공해 하반기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황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