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쪽짜리 재가동 되지 않으려면, 안정적인 물량배정이 관건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국회의원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포함한 구체적인 해법이 6월 중에 마련될 것”이라고 밝혀 귀추가 주목된다.
다시말해 당장은 아니더라도 군산조선소가 안정적으로 가동될 수 있는 해법이 다음 달에는 마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시민들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신 의원은 31일 군산시청 상황실에서 국회의원 취임 1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1년간의 성과발표와 함께 앞으로의 비전을 제시했다.
이 자리에서 신 의원은 “지난 1년은 주력산업 침체로 후퇴한 경제를 되살리고, 코로나19로 인해 고통 받은 민생 회복에 주력해왔다”면서, 가장 먼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다양한 방법을 놓고 현대중과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고 있다”면서 “조만간 지역과 함께할 수 있는 로드맵이 제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현대중과 전북도, 군산시 등이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실무협상을 하고 있다”며 “6월 중에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해법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신 의원은 “구체적인 로드맵에는 현대중과 전북도, 군산시 등이 조속한 재가동을 위해 인력과 장비, 협력사 등과 관련한 내용도 담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재 현대중과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실무협상을 벌리고 있지만, 구체적인 방향 등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이는 자칫 울산 본사 노조와 울산시민 등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이 협상단계에서 흘러나갈 경우, 재가동 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문제는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된다 하더라도 과거처럼 안정적인 대규모 고용창출이 가능할 것인지의 여부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되더라도 과거처럼 블록을 생산한다면 가능한 일이지만, 선박이 아닌 조선‧기계부품 등을 생산할 경우 기대만큼 고용이 크지 않은 반쪽짜리 재가동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군산지역 조선업계의 한 관계자는 “군산조선소의 재가동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선박물량 확보가 가장 큰 관건인 만큼, 현대중이 향후 수년 동안 안정적인 물량을 지원할 의지가 있는 것인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현재 벌이고 있는 실무협상에서 이 문제가 확실한 매듭이 지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군산조선소가 반쪽짜리 재가동이 되지 않으려면, 안정적인 선박물량 배정을 통한 직접적인 선박건조가 이뤄질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로드맵 제시가 절실한 상황이어서, 실무협상에 나선 전북도와 군산시, 정치권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전성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