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범기 정무부지사 “중앙부처 예산확보에 발 벗고 나설 것”
전북도가 글로벌 경기 위축,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에 처한 도내 상용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해 앞으로 도내 자동차 부품기업, 완성차 업체에 큰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2일 ‘제3차 전북도 상용차산업 노사정협의회’에서 상용차산업 활성화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한 후, 이를 확정하고 노사정이 상생 협력해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다짐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금속노조 전북지부장,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및 타타대우상용차 노사 대표, 우범기 도 정무부지사와 전주·군산시 담당국장, 완주군수 등이 참석해 상용차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대책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참석자들은 ‘상용차산업 활성화 추진방안’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들은 후, 하반기부터 즉각 추진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또 이날 노동계는, 상용차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이므로 미래상용차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정책 및 지원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앞서 도는 지난해 12월 지자체, 완성차·부품기업, 연구·지원기관으로 ‘상용차산업 발전협의회’를 구성한 이후 여러 차례 회의를 개최해 상용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구체화해 온 바 있다.
이는 도가 상용차산업 활성화를 위해 완성차, 부품업체, 특장차 및 상용차 운전자들의 의견까지 폭넓게 수렴한 후 현장에서 실제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정책과제 위주로 잠정안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마련된 잠정안에 대해 완성차 및 금속노조 회원사 등을 대상으로 수차례 설명을 통해 노조 측의 의견도 수렴하는 등 노사정이 함께 완성도를 높인 후, 노사정협의회를 통해 확정했다.
확정된 정책과제는 기술개발, 기업지원, 기반구축 3개 분야에 걸쳐, 즉시 시행할 수 있는 과제부터 단기, 장기과제까지 총 20개 과제며, 노사정이 중장기적으로 함께 노력해 나가야할 정책제언 5건을 별도 마련했다.
분야별로는 ▲‘전북형 30대 핵심부품 및 소재 기술개발 사업’ 등 기술개발 6개 과제 ▲‘친환경 미래차 전환지원을 위한 기업 현장 애로 해결 지원사업’, ‘미래기술 확보를 위한 기술교육 지원사업’ 등 기업지원 10개 과제 ▲‘특장차 안전·신뢰성 향상 및 기술융합 기반구축사업’ 등 기반구축 4개 과제, 정책제언 5건으로 구성돼 있다.
우범기 정무부지사는 “노사정이 함께 힘을 합쳐 상용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해 나간다면 반드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이번에 마련한 정책과제들이 정상 추진되려면 국비확보가 필수적이므로 중앙부처를 상대로 예산확보에 발 벗고 나서겠다”고 밝혔다.<황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