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만금 트라이포트(Tri-port, 철도·공항·항만) 구축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새만금 트라이포트의 마지막 한 축을 견고하게 세울 수 있게 됐다.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위원회에서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심의결과 통과됐다. 국토교통부는 내년부터 곧바로 기본계획을 착수할 계획이다.
‘새만금항 인입철도’는 국비 1조2,953억원을 투입해 새만금 신항에서 새만금 국제공항을 거쳐 대야를 잇는 총 연장 47.6㎞ 규모의 여객·화물 병용 단선전철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새만금 개발의 핵심SOC사업이다.
새만금항 인입철도가 건설되면 새만금항에서 장항선, 호남선, 전라선과 연계가 가능해 주민들의 교통편익 향상과 새만금을 전국으로 연결하는 철도 교통물류 수송체계를 구축된다.
새만금을 중심으로 철도, 공항, 항만, 도로가 하나로 모이는 ‘트라이포트’가 완성되면 새만금은 국제공항과 국제항만에 이어 내륙까지도 육․해․공 물류 시스템이 구축으로 새만금을 향한 접근성과 수송능력 등이 증가해 산업물동량 처리뿐 아니라, 인적 교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어 새만금지역 내부개발 촉진은 물론, 국가 균형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모아진다.
앞서 국토부에서 시행한 사전타당성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성(B/C=1.11)이 입증됐으며, 생산유발효과는 3조3,066억원, 고용유발효과는 2만8,000여명,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조555억원으로 예측됐다.
송하진 지사는 “이번 새만금 철도교통 기반시설 구축을 통해 투자 유치가 촉진되고 지역경제에 활력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본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것은 물론, 새만금이 글로벌 생태문명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황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