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경제

산업위기지역 1년 연장…군산경제 숨통 돌려

오는 2024년 4월 4일까지…주력산업의 안정적인 회복 기대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22-03-31 11:02:57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지난 4년간 1조5,000억 지원…신규 투자기업 유치도 확대 전망

 

 올해 4월 4일 지정 만료예정이었던 군산시의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이하 산업위기지역)’ 지정기간이 오는 2024년 4월 4일까지 1년 더 연장됐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여파로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감이 모아진다.


 지난달 3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군산시의 산업위기지역 지정 연장 신청에 대해 현장실사 후, 지역산업위기 심의위원회 및 관계부처 협의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지정 연장을 결정했다.


 시는 그간 산업위기지역 지정 연장을 위해 전북도와 함께 정부부처, 지역 정치권에 지역의 어려운 경제상황과 연장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건의하는 등 다각도로 노력해 지정 연장 결과를 이뤄냈다.


 시는 현장실사단 방문 시 관련 업종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반영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재연장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했으며, ‘군산형 일자리 사업’의 본격적인 고용창출은 오는 2023년 이후 가능하고 신산업과 연계한 고용 창출 자생력 마련까지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절실한 상황임을 건의했다.


 또 군산조선소 재가동 대비 조선업 인력양성, 체질개선 및 생태계 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정부지원 및 전략 필요성 강조하고 골목상권 붕괴, 매출 하락, 폐업 증가에 따른 상권 실태 현황 및 현장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전달했다.


 시는 지난 4년간 위기지역 지정을 통해 위기산업 지원, 대체․보완산업 육성, 근로자․실직자 지원, 소상공인․기업체 금융지원, 경제기반확충 등 68개 사업에 약 1조5,000억원의 국비를 직‧간접적으로 지원받은 바 있다.


 이번 산업위기지역 지정 연장으로 그간 정부의 각종 지원 혜택과 추진 사업들의 효과가 이어져 주력산업의 안정적인 회복과, 대체산업 발굴 및 육성으로 산업·경제 회복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지역 내 협력업체, 소상공인 대상 만기연장, 특별보증, 대출금리 인하와 각종 실질적인 재정지원도 지속 유지되고 위기지역 내 신규 투자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과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 확대로 신규 투자기업 유치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는 침체된 조선과 자동차산업을 되살리고 침체된 경기 회복을 위해 자동차 분야에서는 친환경 전기차를 생산하는 ‘군산형 일자리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으며 조선분야는 스마트, 친환경, 소형선박 중심으로 사업을 다각화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내년 예정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맞물려 생산·기술인력 양성, 교육생 훈련수당 확대와 현장 맞춤형 특화훈련 등의 관련 예산 확보가 수월해질 전망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산업위기지역 연장 결정으로 향후 1년간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이어질 것”이라며 “이번 연장을 토대로 다양한 지원책을 통해 우리 시 주력산업인 조선·자동차 산업 위기를 안정적 회복을 지속 지원하고, 지역경제 활력을 회복하는 계기가 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산시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중단과 한국지엠 군산공장마저 폐쇄 등 조선과 자동차 산업의 동반 침체로 2018년 4월 산업위기지역으로 최초 지정됐으며, 한 차례 지정기간이 연장된 상태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