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경제

“2023년 1월, 군산조선소 다시 문연다”

산업부-고용부-전북도-군산시-현대중공업, 5자 협약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22-04-04 09:54:32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송하진 지사, 조선업 생태계 회복 약속…지역경제 도약 기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중단된지 6년여 만에 다시 불을 밝힌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계기로 도내 조선 산업의 기반을 더욱 탄탄히 다지는 한편, 중소형․특수선과 친환경 선박 중심 핵심 인프라를 지역에 집적화해 전북도를 ‘지속 가능한 서해안 조선업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처음으로 공식화

전북도민이 5년 넘게 고대해온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다시 가동된다. 


전북도는 지난달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군산조선소 재가동 관련 상호 협력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 1월부터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서는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 송하진 전북도지사를 비롯해, 강임준 군산시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대표이사가 서명했다.

 

협약은 ▲2023년 1월 군산조선소 가동 재개→물량 및 공정 단계적 확대→향후 완전하고 지속적인 가동 ▲산업부, 고용부, 전북도, 군산시는 지속적인 군산조선소 가동을 위한 인력확보 등 적극 지원이 주요 내용이다.

 

이로써 2017년 7월 가동중단 이후 줄기차게 추진해 온 군산조선소 재가동이 처음으로 공식화되는 결실을 맺게 됐다.

 

◇재가동 방안…서해안 조선업 메카 도약

이번 협약으로 군산조선소는 오는 2023년 1월부터 연간 10만톤 규모로 블록 제작에 돌입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연내에 군산조선소 시설보수를 위해 약 1,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조선업 인력수급에 맞춰 점진적으로 블록제작 물량을 확대하는 한편, 조속한 시일 내에 ‘완전하고 지속적으로 가동하겠다’는 입장이다.

 

또한 최근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에 맞춰 LNG․LPG 탱크도 군산에서 제작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등 지속성을 계속해서 확대할 예정으로 2017년과 같은 가동중단은 일어나지 않을 것임을 약속했다.

 

업무협약식에서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재가동과 함께 ‘서해안 미래 친환경 조선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먼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블록제작을 시작으로 LNG․LPG 탱크 제작 등 완전하고 지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조선업 인력양성 등 생산 인력수급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도내 조선업 생태계를 조속히 재건하고 조선산업 기반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 특수목적선 선진화 단지 구축, 중소형선박 기자재 품질 고도화 센터, 무탄소 적용가능 엔진 및 핵심 기자재 개발․실증을 위한 육상테스트베드, 조선해양 설치․운송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중소형․특수선 중심의 핵심 인프라를 집적화해 조선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려 나가는데 올인할 계획이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경제효과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됨에 따라 군산시와 전북 경제에도 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가동 첫해인 2023년에는 연간 10만톤 규모의 블록 제작을 위해 최소 600명에서 많게는 1,000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고, 이에 따른 지역 내 생산유발효과는 약 1,989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대중공업은 인력 확보 상황에 따라 군산조선소 배정 물량을 확대하고, 향후 LNG․LPG 탱크 제작 등 완전하고 지속적인 가동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고용 창출 및 지역경제 효과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 가동 시(2016년 기준) 지방세 납부 63억원, 군산지역가계 소비지출 약 600억원(인건비의 30% 정도 지역내 소비 추산), 생산유발효과는 약 2조2,000억원에 달했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 “재가동을 위해 진력 다 하겠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가지고 묵묵히 견뎌주신 도민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견인불발(堅忍不拔)의 자세로 군산조선소의 성공적인 재가동을 위해 진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가 재가동됨으로써 전북 조선업 생태계는 빠르게 회복될 것”이라면서 “최근의 전 세계적인 조선업 호황과 맞물려 군산조선소도 예전의 위상을 조속히 되찾을 것이며, 이를 계기로 전북경제도 한 층 도약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전성룡 기자>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