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관배(YMCA이사장) 경제인구가 되기 전까지 군산에 화력발전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드물 것이다. 더군다나 지난 1968년에 준공돼 35년째 가동중이나 이미 주 기기의 수명이 90%에 다달아 내년 1월이면 폐지된다는 것을 아는 이는 더더욱 드물 것이다. 최근 들어 논란에 휩싸이고 있기는 하지만 새만금사업과 이에 따른 지역발전 그리고 군장공단의 자유무역지정으로 변화 없는(?) 군산이 들썩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아마 지역개발 차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호기로 생각하는 이가 대다수일 것이다. 그러나 과연 군산시가 이러한 변화의 혜택을 한껏 누릴수 있을까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항만을 끼고 있지만 접안시설은 태부족이고, 철로는 확충중이긴 하나 변화를 수용할 국가 기간 산업시설이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다. 여기에 산업의 핏줄이라 할 수 있는 동력, 즉 전력공급원인 기존 군산화력발전소마저 폐쇄된다는 것은 상징적인 의미 이상이다. 군장공단의 전력 필요량은 3백60만KW로 현재 화전 설비용량 66MW의 50배가 필요하다고 한다. 신규로 중설해도 시원치 않을 판에 폐쇄라니 앞뒤가 맞지 않는다. 정부는 2015년까지 현 약 2000만KW를 60%이상 확대된 3274만KW로 증설키로 했다. 현재 지방자치 단체별 발전소 현황(99년6월30일기준)을 보면 전체 41,605.9MW 가운데 경상도가 17,515.7MW로 42.1%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로 수도권 23.9%(9,917.6MW), 충청도 18.2%(7,600MW)순이며, 전라북도는 제주도 455MW보다 못한 100.8MW(0.3%)로 최하위이다. 지역차별이란 말이 가장 잘 나타나는 순간이다. 이는 전력은 국가산업이기 때문이다. 거두절미하고 군산화전의 향후 처리는 연료공급, 송전개통, 공업용수 등을 고려할 때 현 화전자리에 친환경적인 천연가스(LNG)를 이용한 복합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고 타당하다는 것이다. 화전발전설비는 현 생산설비의 14배에 달하는 450MW 2기로 900MW를 생산하며, 30개월이면 준공가능하다는 것이다. 최근 도지사를 비롯한 시민들이 새만금사업 지속의지를 삭발로 보여 주었다. 심지어 일부 해당 지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핵발전소 폐기물 저장고 유치를 도 차원에서 공을 들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굵직굵직한 현안속에 군산화전 폐기와 그 후속대안이 파묻혀 사라질 판이다. 동력이 있어야 공장이 돌아갈 수 있다. 군산외고 유치에 한 목소리를 낸 군산시민이 이제 더 큰 단결력으로 군산화전 문제에 힘을 쏟아야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