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이 끝나고 한해의 교육성과가 회자되고 있는 가운데 '군산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말을 하면서 의견이 분분하다. 요즘 군산교육의 현실을 꼬집는 한 시민은 "좀 산다하면 또는 좀 공부한다 하면 '더 나은 교육'을 찾아 서울로, 전주로, 해외로 빠져나가는 사람들 뒤에 남아 있는 학생과 학부모는 공부하려는 환경이 악화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고 있고, 교육열의를 잃어가고 있는 일부교사들은 매너리즘에 빠져 군산교육의 저하를 부채질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걸려 있는 듯 하다"한숨을 내쉬고 있다. 이는 군산인구의 고갈현상이 바로 교육에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군산교육을 살리는 길만이 군산의 미래를 여는 길임을 인식하고 군산시민장학회가 만들어져 많은 뜻있는 시민들이 참여하고 있지만 흔히 잘나간다는(?) 전문직 종사자들의 장학금 기탁자 명단을 보면 변호사 22명중 3명만이 참여했을 뿐 아니라 그 중에는 일부 시 고문 변호사도 참여를 하지 않았다. 201병원 중 14명의 의사만이 참여했고 102개 약국 중 6명 약사, 한의원 50개 중 단 2명만이 참여하는데 그쳐 이는 전문직 종사자들이 군산교육을 외면하고 있다는 단적인 증거이다. 한편 그동안 시민 장학회에서는 많은 장학금을 수능 성적순(대학 합격)에 지급했으나 내년부터는 중 고등학생에 지급비율을 높이기로 조절한 것도 군산교육을 살리기 위해서는 좋은 대학에 보내는 것도 좋지만 중학교 우수인력이 빠져나가지 않고 고등학교를 군산에서 가족과 함께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데 있다. 또한 드넓은 공단을 조성해놓고 공장 유치에 열을 올리고는 있지만 막상 입주했다 하더라도 가족은 그냥 두고 홀몸만 내려온 임직원들은 "내 자식을 맡길만한 확신이 군산에서는 찾기 힘들다"고 감히 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군산경제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군산교육이 살아야 한다'는 명백한 사실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 일부 시민들 중에는 그 대안의 하나로 평준화를 해제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강근호 시장은 시정연설에서 군산을 비평준화지역으로 환원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나운동에 사는 한 학부모는 최근 군산교육청 사이트에 군산교육을 살릴 수 있는 건의사항을 올렸다고 밝히면서 "작금의 현실은 효율성과 생산성을 요구하고 있고, '평가'라는 수단을 통해 그것을 얻고자 하고 있다. 대통령도 국민에 의해 평가를 받아야 하고, 부하를 평가했던 직장의 상사도 부하에 의해 평가를 받고, 권위의 상징이었던 대학교수도 대학생에 의해 평가되고 있는 것도 이미 보편화되어 있다"며, "고과점수에만 매달려 평가받았던 교사들도 교육의 소비자, 즉 학생들로부터 직접 평가를 받을 때 자기개발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즉 ‘수업시간은 잘 지키는가?, 수업준비는 잘 하는가?, 학생들에게 공평한가?, 자기교재를 개발했는가?, 무성의한 교사는 누구인가?’등 구체적인 사안으로 평가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행히 군산은 외국어고를 유치하여 교육의 긍정적 조류가 흐르고 2005학년부터 문을 열지만 과연 군산지역 우수 학생들이 얼마나 지원하고 합격하느냐는 의문이 있는 가운데 최근 군산은 재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특구신청에서 5개의 특구신청에서 국내외 기업유치와 관련하여 '외국어교육특구'를 신청한 바 있다. 이는 군산의 현실을 잘 파악한 것이라는 평을 받고 있으며, 이의 성사를 위해 시민의 모든 역량을 집결해야 한다는 중론이다. 군산교육 살리기는 군산의 운명을 좌지우지하는 중대한 사안이라는 점에 동의한다면 비평준화지역의 실현, 교사평가제의 도입, 교육특구의 지정이 빠른 시일 내에 이루어지기를 절실히 바라면서 군산교육발전을 위해 너와 내가 따로 없이 교사, 학부모, 당국이 심각한 고민과 대안마련에 골몰해야 할 절박한 시점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군산신문사는 이러한 군산교육의 현주소를 직시, 개선점을 찾아내고 군산교육을 살리는데 초점을 맞춰 군산 교육을 집중 재조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