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마무리되는 11월 중순 이후로 다시 옮겨야 “시의회의 적극적 의정활동에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도저도 아닌 행정사무감사를 지켜보는 집행부 관계자와 시민들은 김빠진 행감을 지켜보며 누굴 위한 것인지 묻고 싶습니다.” 이처럼 시의회 안팎에서 안정적인 행감이 되기 위해서는 시의회가 예전처럼 대부분의 사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11월 중순 이후로 행감 시기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가진다. 최근 시의회는 지난 9일부터 17일까지 9일간 행감을 진행했다. 특히 시의회는 이번 행감을 지난 제156회 임시회에서 당초 7일 이내로 실시됐던 일정을 9일간으로 조례가 변경됨에 따라 보다 심도 있고 세밀한 감사를 예고했지만 정작 행감을 받은 피감기관인 군산시청 공무원들과 시민들은 이들과 의견이 다르다. 시의회 안팎에서 행감에 대해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는 이유는 지난해부터 7월에 실시하고 있는 행감이 이런저런 이유로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의회는 지난 2010년까지 11월 2차 정례회 기간에 해왔던 행감을 지난해부터는 7월에 하고 있다. 지난 2000년과 2001년 제3대 의회에서 지난해와 올해처럼 1차 정례회 기간에 행감을 실시한 바 있지만 이런저런 문제를 이유로 2002년 제4대 의회에 들면서 2차 정례회 기간에 행감을 치러왔었다. 하지만 매년 11월에 열리던 행감이 7월에 열림에 따라 당해 회계연도에 해당하는 사업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 등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7월에 열린 행감의 경우 올해 회계연도의 사업 등에 대한 행감을 실시함에 따라 일부분야에서는 ‘수박 겉핥기’ 행감이 됐고, 이런 일들은 어김없이 올해에도 반복됐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행감기간 내내 상당수의 의원들이 집행부의 사업과 관련한 면밀한 지적과 대책마련보다는 특정 사안에 대한 개선 등을 요구하는 식의 김빠진 행감으로 진행됐다. 모 의원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올해 행감도 7월에 진행됨에 따라 피감기관의 사업 등이 한창인 상황이어서 결과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는 등 본연의 행감을 제대로 치를 수 없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여기에다 행감과 예산심의가 7월과 11월에 별도로 열림에 따라 행감과 예산심의가 모두 행감처럼 진행되고 있어 집행부의 불만도 이만저만 아니다. 다시 말해 집행부 입장에서 보면 11월과 12월에 행감과 예산심의를 연이어 진행하는 것에 비해 7월 행감과 11월 예산심의가 따로따로 이뤄져 1년에 한 번 맞을 매를 두 번 나눠 맞는 격이 된다는 것. 시 관계자는 “행감과 예산심의가 하반기에 이뤄질 때는 중복자료 등에 대한 조율로 업무가 부담되지 않았지만 행감과 예산심의가 7월과 11월에 나눠 치러짐에 따라 일이 두 배로 많아졌다”고 하소연 했다. 이 관계자는 또 “시의회가 지난해부터 행감을 7월에 진행하면서 직원들이 하계휴가를 가지 못하고 있다”며 “행감으로 인해 시의 후반기 인사가 행감이후로 미뤄짐에 따라 자리를 이동한 상당수 직원들이 업무파악 등을 이유로 휴가는 엄두도 내고 있지 못하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시의회 운영위원회는 지난 17일 회의를 통해 현재 햄감 시기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과거대로 11월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9월에 열리는 임시회에서 운영위의 이런 제안이 받아들여지면 행감이 11월로 원위치 된다. 한편 운영위는 임시회와 정례회 때 간부급 공무원 50~60명이 참석해 업무의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에 따라 5분 발언과 시정질문 등에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공무원만 참석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전성룡 기자>